•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경에 담긴 신중(神衆) 사상 연구Ⅰ- 세주묘엄품을 중심으로 - (Study Ⅰ on the Idea of Sinjung(神衆) Contained in 『The Avatamska Sutra』 - Focusing on 「Sejumyoeompum」)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04
22P 미리보기
화엄경에 담긴 신중(神衆) 사상 연구Ⅰ- 세주묘엄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108권 / 2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강기선

    초록

    본 논문은 「화엄경에 담긴 화엄신중사상 연구를 80권본 「세주묘엄품」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부처님 재세 시에 등장하는 신중은 주로 천신들이었다는 것을 『아함경』을 통해 알 수 있다. 화엄성중은 다른 말로 ‘화엄 신중’, 또는 ‘화엄신장’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줄여서 ‘신중’이라고 할 만큼 불자들에게 꽤 친숙하고 익숙한 이름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호칭은 사찰의례에서 오늘날까지 신앙의 형태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신중(神衆)은 불교경전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산발적으로 교설되어 있는데 비해, 『화엄경』의 「세주묘엄품」에서는 세간의 주인에 대하여 보현보살이 설주가 되어 집중적으로 교설하고 있다. 『화엄경』에서 신중(神衆)은 교리적으로는 그들이 증득한 해탈법문을 교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엄성중으로써 역할까지 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글에서는 잡류에 해당되는 신중들을 화엄의 수행계위인 십주에 배치하여 신중사상을 분석해보았을 때, 가장 큰 특징은 이들 신중들을 각각의 십주의 열 가지 항목에 배치한 교설이라는 것이다. 보살을 십주의 초지인 발심주(發心住)에 배치하고 난 후에는, 9부류의 신중들을 나머지 주(住)에 배치하고 있다. 즉, 제2 치지주(治地住)는 집금강신에, 제3수행주(修行住)에 신중신을, 제4생귀주는 족행신에, 제5구족방편주(具足方便住)는 도량신에, 제6정심주(正心住)는 주성신에 , 제7불퇴주(不退住)는 주지신에, 제8동진주(童眞住)는 주산신에 제9법왕자주(法王子住)는 주림신에, 제10관정주(灌頂住)는 주약신에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태어난 대중[異生衆]들 중에서 잡류의 여러 신중들이 증득한 해탈문도 다양하게 품에 설해져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 불교의 굳건한 신앙으로 자리매김한 근본 시발점은 바로 이 품에서 등장한 이러한 화엄 신중들로부터 그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idea of Hwaeom Sinjung contained in 『The Avatamska Sutra』 centering around 「Sejumyoeompum」 in 『The Avatamska Sutra』 consisting of 80 volumes.
    Through 『Ahamgyeong』, we can see that Sinjung appearing while Buddha was alive were mostly heavenly gods.
    Hwaeom Seongjung is called as ‘Hwaeom Sinjung’ or ‘Hwaeom Sinjang’, and as it is abbreviated as ‘Sinjung’, too, it is quite a familiar and intimate name to Buddhists. It is because the name has been used as a form of faith up to now in Buddhist temple ritual.
    While Sinjung (神衆) is preached sporadically in various forms here and there in Buddhist scriptures, Samantabhadra Bodhisattva preaches intensively about the owner of the world as a main preacher in 「Sejumyoeompum」 of 『The Avatamska Sutra』. Sinjung (神衆) in 『The Avatamska Sutra』 doctrinally preach about the Buddhist writings of Nirvana acquired themselves and are also characterized by their roles as Hwaeom Seongjung.
    Analyzing the idea of Sinjung by arranging Sinjung corresponding to Japryu in Sipju, the cultivation stages of Hwaeom,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biggest characteristic is the preaching of arranging those Sinjung on each of the ten items of Sipju.
    After arranging the Bodhisattva in Balsimju (發心住), Choji of Sipju, it arranges nine groups of Sinjung in the rest Ju (住). It means that the 2nd Chijiju (治地住) can be arranged in Jipgeumgangsin, the 3rd Suhaengju (修行住) in Sinjungsin, the 4th Saenggwiju in Jokhaengsin, the 5th Gujokbangpyeonju (具足方便住) in Doryangsin, the 6th Jeongsimju (正心住) in Juseongsin, the 7th Bultoeju (不退住) in Jujisin, the 8th Dongjinju (童眞住) in Jusansin, the 9th Beopwangjaju (法王子住) in Jurimsin, and the 10th Gwanjeongju (灌頂住) in Juyaksin.
    The writings of Nirvana acquired by Sinjung corresponding to Japryu out of Isaengjung [異生衆] are also preached diversely in Pum.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 ultimate point that Buddhism started to be settled down firmly as a belief in Korea is the very Hwaeom Sinjung appearing in that P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