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경기지역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 유형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Types Supporting Services for the Senior in Seoul and Gyeonggi-do)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1.08
14P 미리보기
서울·경기지역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 유형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5호 / 179 ~ 192페이지
    · 저자명 : 장주영, 황용섭,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초고속 고령화로 심각해지는 우리나라의 고령자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고령자의 AIP를 위한 주거 대안으로서 사회서비스가 지원되는 서비스 지원주택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을 유형화하고 서울과 경기지역의 실제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고찰을 통해 AIP의 개념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주택 현황과 서비스 지원 종류 및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고령자 대상으로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노인복지주택, 의료안심주택, 고령자복지주택(공공실버주택), 공동체 주택을 포함한다.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화를 위해 가장 먼저 정부 지원 여부에 따라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과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으로 분류하였고, 입지형태에 따라 ‘도심지 형’, ‘도심근교형’, ‘전원휴양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거주형태에 따라 ‘독립거주형’, ‘공동거주형’으로 분류하고, 서비스 지원공간 배치에 따라 ‘통합형’, ‘분리형’, ‘혼합형’으로 분류한다. 셋째,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들을 통합하여 총 18가지로 코드화한다. (결과) 첫째,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은 ‘UPI’, ‘OPI’, ‘UPS’로 전체 18개 타입 중 3개 타입의 유형들로 나타났고,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은 ‘UPI’, ‘UPS’, ‘UCI’, ‘OPI’, ‘OPS’ ‘RPI’, ‘RPS’로 전체 18개 타입 중 7개 타입의 유형들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으로는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입지유형별로 ‘도심근교형’, 거주형태는 ‘독립거주형’, 서비스 지원공간은 ‘통합형’, 그리고 유형화 코드 중 ‘OPI(도심근교/독립거주/통합)’ 유형이 가장 많았다.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입지유형별로 ‘도심형’, 거주형태는 ‘독립거주형’, 서비스 지원공간은 ‘통합형’, 유형화 코드 중 ‘UPI(도심/독립거주/통합)’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 순으로 전체 22개소 중 ‘UPS(도심/독립거주/분리)’와 ‘OPI(도심근교/독립거주/통합)’유형이 각각 4개씩 나타났다. (결론) 서울·경기 지역의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 28개소를 분석한 결과,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도심근교에 위치하면서 독립거주가 가능하고 서비스 지원공간이 같은 건물에 통합된 형태인‘OPI’유형이,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도심에 위치하면서 독립거주가 가능하고 서비스 지원공간이 같은 건물에 통합된 형태인 ‘UPI’유형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국내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Given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housing problems of senior citizens is becoming a major concern in Korea. Henc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service-supported housing that supports social services as a housing alternative for the AIP. “Service-supported housing for the senior” was categorized, and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we examined the tangible characteristics of service-supported hous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AIP, the current status of rental housing for the Senior, types of service-supported, and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ncluded domestic welfare housing for the senior, medical safety housing, senior welfare housing, and Senior community housing. Rental housing for senior citizens who supported the service was classified as “rental housing supporting public service for the senior” and “rental housing with private service support for the senior”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support as well as classified as “urban-type,” “outskirt-type,” and “rural-type.” It was also classified as “independent residential” and “communal residential”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of the senior and as “integrated,” “separated,” and “mix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service support spaces. Finally, the types of rental housing for the senior with service support were integrated and coded into a total of 18 types. (Results) First, “public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was “UPI,” “OPI,” and “UPS,” which were 3 out of the 18 types.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was “UPI,” ”UPS,” “UCI,” “OPI',” “OPS,” “RPI',” and “RPS,” which were 7 out of the 18 types. Second, in the case of “public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the most common type was the “outskirts type” by location, “independent residence type” by residence, “integrated type” by service support space, and 'OPI’(Outskirt/Private residence/Integration) among the classification codes. ’ was the most common type. In the case of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the “urban type” by location, “private residence type” by residence, “integrated type” by service support space, and “UPI (Urban/Private Residence/Integrated) type among the typification codes. Next, out of 22 locations, ‘UPS(Urban/Private Residence/Separation)’ and ‘OPI(Outskirt/Private residence/Integration)’ type appeared four each. (Conclusion) Twenty-eight housing services for the senior citiz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Public service housing is located in the urban allows private living, and the service support space is integrated into the same building, i.e., “OPI.” In the case of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the “UPI” type was the most common. Based on these results,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ach type of housing for senior citizens in Korea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