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방광불화엄경』은 7처설인가? - 보광법당의 정체와 의미 - (Was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Preached in Seven Plac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4.03
32P 미리보기
『대방광불화엄경』은 7처설인가? - 보광법당의 정체와 의미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104호 / 119 ~ 150페이지
    · 저자명 : 박보람

    초록

    한역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동아시아에서 예로부터 현상적인 측면[事]에서는 7처(處)에서 설해진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 글은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 대안으로 6처설을 주장하였다. 그 요지는 7처설의 7처 중에서 제1회의 처인 마갈제국 적멸도량 보리수 아래 사자좌와 제2회 등의 처인 보광법당 연화장사좌자가 동일한 처인 ‘마갈제국 적멸도량 보리수 아래 보광법당 연화장사자좌’의 두 가지 표현일 뿐이며 따라서 『대방광불화엄경』은 7처설이 아니라 6처설로 보는 편이 『대방광불화엄경』의 맥락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7처설은 지엄 등의 초기 화엄교학 이전에 이미 동아시아에서 『대방광불화엄경』 설처의 표준적인 이해였던 것으로 보이며 초기 화엄교학 또한 이 7처설을 받아들여 보리수 아래 사자좌와 보광법당을 별도의 처로 규정한다. 아울러 초기 화엄교학은 7처설이 되기 위한 관건인 보광법당의 위치와 성격 등에 대해서 독자적인 해명을 시도한다. 이에 따르면 보광법당은 보리수로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용이 지은 것 또는 용의 위호를 상징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보광법당이 보리수와 동일한 처이며 그 정체는 용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비로소 깨달음을 이룬[始成正覺] 부처가 내는 광명의 발원지를 일종의 건물로 상징 ․ 형상화한 것이라는 설을 제안하였다.
    이처럼 보광법당을 이해하여 6처설에 입각한다면 『대방광불화엄경』에서 부처의 본래 경계를 설하는 제1회와 중생의 믿음을 설하는 제2회와 깨달음의 경계를 설하는 뒷부분(『대방광불화엄경』 진본晉本은 제6회 일부 및 제7회, 주본周本은 제7, 8회)이 모두 한 자리에서 펼쳐지는 것이 된다. 이와 같다면 『대방광불화엄경』의 설처를 통해서도 부처와 중생과 깨달음이 본래로, 구래로 동일한 한 자리라는 화엄교학의 여래성기(여래출현)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Chinese Buddhāvataṃsūtra has long been construed in East Asia as having been expounded in seven distinct locations (處). This article aims to challenge this traditional understanding and proposes the six-place theory as an alternative framework. A central contention emerges from an examination of the seven-place theory, specifically pertaining to the initial location, which is the lion's throne beneath the Bodhi tree at the Nirvana Temple (寂滅道場) in Magadha, and the second location, which is the lion's throne adorned with lotus flowers situated in the Dharma Hall of Universal Light (普光法堂), asserting that these constitute dual expressions of the same locus. Consequently, it is contended that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is more aptly apprehended through the lens of the six-place theory, diverging from the prevailing seven-place paradigm, thereby aligning with the contextual nuances intrinsic to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The seven-place theory appears to have entrenched itself as the prevailing conceptualization of the Buddhāvataṃsakasūtra's location in East Asia, predating the early Huayan thoughts articulated by Zhiyan (智儼) and his successors. Moreover, early Huayan thoughts endorsed the seven-place theory, endeavoring to furnish a distinctive explication of the Dharma Hall's locale and identity—a pivotal element in the formulation of the seven-place theory. In essence, early Huayan thought conceived of the Dharma Hall as situated slightly apart from the Bodhi Tree, positing its construction by a dragon or its symbolic association with draconic protection. However, this article propos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positing that “the Dharma Hall” and “the Bodhi Tree” are synonymous, with their identities disassociated from draconic symbolism. Instead, the Dharma Hall is advanced as a symbolic and visual representation of luminous emanations following the Buddha's enlightenment, manifesting in architectural form.
    If one comprehends the Dharma Hall in this manner and embraces the six-place theory, the inaugural assembly in the Jin dynasty edition (晉本) explicating the original realm of the Buddha, the subsequent assembly elucidating the faith of sentient beings, segments of the sixth assembly, and the seventh assembly (the Zhou dynasty edition, 周本, serving as the seventh and eighth assembly) illuminating the bounds of enlightenment converge into a singular location. If articulated in this manner, the interpretation may be construed as an exposition of Huayan thoughts concerning the Manifestation of the Tathāgata. This posits that the Buddha, sentient beings, and enlightenment are fundamentally and intrinsically synonymous within the context of the Buddhāvataṃsakasūt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