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句麗의 庚子年(400) 遠征의 실상과 加耶 諸國의 대응 (The Reality of Goguryeo’s Expedition in the Year of White Rat (400) and the Response of the Countries of Gay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3
34P 미리보기
高句麗의 庚子年(400) 遠征의 실상과 加耶 諸國의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9호 / 159 ~ 192페이지
    · 저자명 : 기경량

    초록

    광개토왕비문에는 영락 10년 경자년(서기 400)에 고구려가 한반도 최남단에 자리한 ‘임나가라’ 지역에 군대를 보내어 활동한 기록이 남아 있다. 이는 왜군에 의해 위기에 빠진 신라를 구원하기 위한 작전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신라의 위기 상황은상당 부분 과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왜군의 공격은 실제로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지만, 대규모 병력이었다고 보이지는 않으며, 신라가 존망을 걱정할 수준이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400년에 있었던 전쟁의 본질은 낙동강 하류 지역을 둘러싼 신라와 금관가야의 대결이었다. 금관가야는 우호 관계에 있는 왜의 병력을 활용하여 신라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었다. 신라는 불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고구려의 개입을 기획하였다. 신라는 고구려에왜의 실력과 위협 수준을 과장하여 호소하는 한편, 왜가 고구려와 대적하고 있는 백제와 연계된 세력임을 강조하였다. 고구려 원정군을 앞세운 신라는 자국 영역을 침범한 왜군을 몰아내는 한편 이들의 뒤를 추격하며, ‘임나가라(금관가야)’를 공격하였다. 그 결과 금관가야는 큰타격을 입어 세력이 위축되었고, 낙동강 동안 일대는 신라의 영향 아래 들어가게 되었다.
    고구려의 400년 원정에 가야의 여러 소국이 어떠한 식으로 대응하였는지에 대해서는많은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특히 ‘安羅人戍兵’이라는 비문의 문구와 관련해 함안의 안라국이 어떤 입장이었는지에 대해 이견이 많다. 그러나 400년 전쟁에서 실제 전투가 전개된 지역은 금관가야의 영내로 한정되었다고 여겨지며, 금관가야를 제외한 다른 가야의 소국들은전쟁에 참여하지 않고 관망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금관가야가 신라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 영향력을 상실하자, 그 공백을 틈타 함안의 안라국과 고령의 대가야가 가야 지역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었다. 고구려의 400년 원정은 가야사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되는 사건임에분명하지만, 전쟁의 규모와 실제 영향력에 비해 과도하게 평가되었던 측면도 있다.

    영어초록

    On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there is a record that Goguryeo sent troops to the ‘Imnagara’ area located in the southernmost tip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tenth year of Yeongrak, the year of white rat (AD 400). This was part of the operation to save Silla that fell into crisis by Japanese Navy. However, it seems that the crisis of Silla recorded in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has been exagger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It is judged that there were actually the Japanese Navy’s attacks, but it does not seem that they were large forces, and also, it does not seem that they were not a life-or-death concern for Silla.
    The essence of war in 400 was the confrontation between Silla and Geumgwan Gaya surrounding the lower Nakdonggang River area. Geumgwan Gaya constantly pressed on Silla, making use of the military power of Wae-guk which was 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it. Silla planned intervention of Goguryeo to break through adverse circumstances. Silla appealed to Goguryeo, exaggerating Wae-guk’s force and threat level while it emphasized that Wae-guk was associated with Baekje that stood against Goguryeo. Silla that made Goguryeo’s expeditionary force go ahead drove out the Japanese troops that invaded their home territory and attacked ‘Imnagara (Geumgwan Gaya),’ tracing them. As a result, Geumgwan Gaya suffered a heavy blow, and east of the Nakdonggang river fell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Concerning the way in which many small countries in Gaya responded to Goguryeo’s expedition in 400, many opinions have been presented. Especially,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about the position of Anra-guk in Haman concerning the phrase on the epitaph, “Anra-in Subyeong.”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areas where the real battles took place in the war were limited to the territory of Geumgwan Gaya, and it is assumed that other small countries in Gaya, except for Geumgwan Gaya, waitedand saw the war, without getting involved. Geumgwan Gaya that suffered blows was defeated in its competition with Silla and greatly lost its influence in the Gaya region.
    Taking advantage of this gap, Anra-guk in Haman and Daegaya in Goryeong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the Gaya region. Goguryeo’s expedition in 400 surely is an incident that is the important point of inflection in the history of Gaya. However, to some extent, it was overrated as compared to the scale and impact of the actual warf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