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王京 중심부의 도시화 과정 및 坊里 구조 고찰 (A study on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Bangri structure of the center of Silla capita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11
26P 미리보기
新羅王京 중심부의 도시화 과정 및 坊里 구조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90권 / 90호 / 65 ~ 90페이지
    · 저자명 : 황인호

    초록

    신라는 中古期들어 왕권을 강화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수도 王京에 坊制를 기초로 한 계획도시화를 추진하였다. 왕경 내부를 일정한 단위규모를 이루는 격자형 도시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왕경의 실질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가능하게 하였다. 진흥왕대에 시작된 왕경의 초창기 도시화는 月城을 기준으로 북서쪽의능묘지구와 대칭을 이루는 북동쪽의 인왕동, 구황동 일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저습지를 메우고 건립된 皇 龍寺를 거점시설로 삼아 1坊460×460척을 기본단위로 한 시가지가 조성되었다. 최근 확인된 황룡사지 주변의 광장시설과 도로유구는 황룡사 건립이 왕경의 1차 도시계획과 직결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월성 서편 지역은 興輪寺, 永興寺, 괈廟寺등 중고기 사찰과 더불어 시가지가 조성되었지만 전형적인 坊里 구조와는 다른 양상이다. 대능원 일대의 湧泉水유로와 고분군의 분포 범위 등 지형지물의 영향을 받아 자연촌락 형태의 시가를 형성했고, 초창기 도시화에서 제외되었다가 문무왕대 이후 기존 간선도로나 방제와 무관하게 존재했던 구시가의 가로망이 정비되었다.
    삼국통일 이후에는 월성 일대의 대대적인 정비와 함께 부족해진 신도시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왕경 핵심부의 바깥쪽으로 시가지를 확장해 나갔는데, 북천 이남에 한하여 월성의 남북중축선상 최북단에 위치한 겗宮으로 비정되기도 한 성동동 전랑지가 2차 도시계획의 거점시설로 활용되었다. 구획단위는 도로부지만 60척에서40척으로 줄여 440×440척으로 조정되었다. 이때 기존에 정비된 도시구역은 계속해서 당초 방리 구조를 유지하였으며, 방 내부의 건물들은 증개축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다. 특히 滿月城의 정북으로 1블록 떨어진 선덕여중고 내 유적들에서는 方池, 曲水걟 등의 조경시설과 대형 석조화장실유구, 대형 건물들이 다수 확인됨에 따라월성에 인접한 관청가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By the Joonggogi, Silla conducted urbanization in Silla capital based on the bangri system in order to strength the royal authority and establish the centralization.
    A division of inside the Silla capital into grid system forming regular unit sizes enabled actual administrative division of Silla capital. The initial stage of urbanization of Silla capital which began in the reign of the King Jinheung proceeded based on the area of Inwang-dong and Guhwang-dong, the northeastern part symmetrical to tomb district, the northwestern part on the basis of Weolseong.
    An urban district, 1bang 460×460cheogs as the basic unit, was created in the Wangheungsa,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buried swampy place, as the base facility. The plaza facility and road on the periphery of the Hwangryongsa Temple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Hwangryongsa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primary urbanization plan of Silla capital.
    Although an urban district along with the Joonggogi temple such as Heungyunsa, Yeongheungsa, and Yeongmyosa were constructed in the western area of Weolseong, it has a different aspect with typical bangri structure.
    A street in the form of natural village w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Yongcheonsu waterway of the region of Daereungwon and a range of ancient tombs. In addition, by the period of King Munmu, a street network which was existed independent of the existing main road or bangje was organiz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the city was extended outwards of the core part of Silla capital to secure the new town in conjunction with extensive organization of the area of Weolseong.
    An estimated area of the North palace located in the northernmost of board the central figure of Weolseong in the area beneath Bukcheon was used as the second step urban plan. Its division unit was road site but the unit decreased from 60cheog to 40cheog and adjusted to 440×440 cheog. The previously organized city district maintained its original bangri structure and buildings inside the bang developed undergo addition and improvement. It is believed as the civic center adjacent Weolseong since a number of landscape facilities such as a square pond and winding drainway, large stone bathroom remains and large buildings are found from the archaeological sites in the Seondeok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1block from due north Manwols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