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경(敬)사상과 평화실천과제 (T’oegye Yi Hwang’s Philosophy of the People-centered Mindfulness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Realization of Peace Toda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7.09
33P 미리보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경(敬)사상과 평화실천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3호 / 213 ~ 245페이지
    · 저자명 : 박광수

    초록

    조선중기 16세기의 대표적 성리학자인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은 현대 글로벌 사회에서도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신적 가치와 수행 및 도덕적 실천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그의 ‘경(敬)’에 대한 관심은 퇴계학을 정립하는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인류사회의 대중적 건강에도 공헌할 수 있는 주제이다.
    그의 경의 실천은 백성을 중요시 여기는 민본사상을 실현하고자 함이었다. 또한, 민본사상은 자신의 국가 사회뿐만 아니라, 이웃 국가에도 적용되어야 하는중요한 평화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이황은 마음(心)의 원리와 작용을 밝히는 심성론(心性論)과 경(敬)의 실천을 통해 성학(聖學)에 이르고자 하는 수행체계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그의 견지에서 경은 예(禮)의 근본이며 사회 보편적 실천윤리인 셈이다. 이황의 경(敬)사상의 특징은 ‘나’와 ‘너’와의 상호 관계성에서 공경함과 배려함의 보편적 실천윤리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이황의 심학과 경사상이 잘 드러난 것이 『성학십도(聖學十圖)』이다. 이황은천리를 중시하면서도 일상생활 속에서 상제를 대하는 자세로 경외심을 실천하도록 하였다. 그의 경사상은 생명존중과 민본중심사상을 담고 있어 세계 보편윤리로서 가치를 지닌다. 그의 경사상은 심성론의 원리를 토대로 사회적 공공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인류사회의 평화로운 질서를 이루는 실천윤리로 발전시키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도, 이황의 사상은 세상의 사회적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려는 평화사상을 정립하려한 것이라는 점을 새롭게 조명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oegye(退溪) Yi Hwang(李滉, 1501-1570), a representative 16th century Korean Neo-Confucian scholar, promoted spiritual values as well as practical and ethical principles necessary for contemporary global society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ed in any modern community. His concept of mindfulness or reverence makes urgent the establishment of T’oegye Studie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ublic health of human society. His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mindfulness focuses on the realization of his people『oriented thoughts in cherishing the populace. Through his people-oriented thoughts, he proposes principles for peace that can be applied to his own country’s society as well as to neighboring countries. Yi Hwang suggests a comprehensive system of practice based on putting mindfulness into practice and thereby attaining sagely learning. From Yi Hwang’s perspective, mindfulness is the basis of propriety (禮) and is the foundation of the practical ethics universal to society. His concept of mindfulness is significant because he provides practical and ethical principles of respect and solicitude in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e’and ‘other’. Such philosophy of reverence and mind studies of Yi Hwang is well represented in The Ten Diagrams of the Sages’ Learning(聖學十圖 Sŏng-hak Sip-do). While Yi Hwang stressed the heavenly principles he also urged the practice of mindfulness in our everyday lives starting with the attitude of reverence for the Lord Above. His philosophy of reverence is valuable as a principle of ethics of universal practicability in the world as it incorporates the principles of respect for life and bioethics.
    Furthermore, his theory on mind and its nature bears the task of realization for peace among human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mindfulness and public『mindedness. Through new interpretations of Yi Hwang’s thoughts, we could open up a new horizon in ‘T’oegy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that points toward a way to realize a peaceful community by providing a solution to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e contemporary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