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세 법화경 동사 번역어에 관한 한일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Translated Words of Middle Ages in the Lotus Sutra)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2
21P 미리보기
중세 법화경 동사 번역어에 관한 한일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94호 / 27 ~ 47페이지
    · 저자명 : 오미영

    초록

    倭点法華経序品第一の訓読文における動詞は全部で504例である。固有語が307例で全体の約61%、「音読+す」が197例で全体の約39%である。論語の場合に比べ、前者の比率は約17%低く、後者は約27%高い。これは仏教用語などを漢字のまま訓んだことに起因するものと考えられる。 該当部分を法華経諺解で調べた結果、固有語が286例約57%であり、「音読+hata」が157例、約31%であり、その他が61例、約12%である。その他とは、句で翻訳したもの[32例]と翻訳語がないもの[29例]であるが、これは法華経諺解が倭点法華経に比べ、漢文原文から自由であったことを示すものである。 両資料の用例は、語種の面では332例、約66%が一致し、品詞の面では、402例、約80%一致している。 倭点法華経の固有語動詞を法華経諺解で「漢字2字+hata」と翻訳した例、「漢字1字+す」を「漢字2字+hata」と翻訳した例、そして法華経諺解において原文と異なる「漢字2字+hata」と翻訳したものが注目される。一番目には「對答․讚歎․布施․說法․濟度 ․護持․滅度」などがあり、二番目には「讚歎․禮數․講論․敎化」などがある。三番目には「讚歎․講論․慰勞․敎化」などがある。これらの語は当時2字漢語として朝鮮語に定着していたものと考えられる。 倭点法華経において「漢字2字+す」と訓んだものを、法華経諺解では固有語を翻訳した「知識せら-아논, 退轉せ-믈리그우디, 歡喜し-깃거, 具足したまふ-시고」のような例も注目される。これらの語は現在韓国の仏教界において廣く用いられる語であるが、当時はまだ定着していなかったものと考えられる。両資料の翻訳語が品詞面で一致しない場合は、法華経諺解に翻訳語がないものと句で翻訳したもののほかは、漢文原文の理解が異なる場合である。しかし、これによる意味の違いは生じていない。

    영어초록

    There are 504 verbs in first chapter of Waten Hokekyō(abb. WH. Lotus sutra with Japanese diacritical words). Among of them, 307 verbs (61%) are Japanese origin words and 197 verbs are “Sino-Japanese word-su”. In the case of the Analects, the former is 17% lower than WH, the latter is 27% higher than WH.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e Buddhist idioms being read by Sino-Japanese words.
    I have investigated the corresponding verbs in the Beophwagyong Eonhae (abb. BE. Lotus sutra with Korean translation), among them, there are 386 verbs (57%) are Korean origin words, “Sino-Korean word-hata” are 157 verbs (31%) and the others are 61 verbs (12%). The others means that verbs are translated as not words, but phrases (32 cases) or have not translated words (29 cases). This tendency indicates Korean in the BE are more independent from Chinese original text than WH.
    I compare verbs in the WH and corresponding verbs in the BE, there are 3 different patterns between WH and BE. First one is Japanese origin words in WH are translated as “2 Chinese characters words-hata” in the BE: 對答, 讚歎, 布施, 説法, 濟度, 護持, 滅度 etc. Second one is “1 Chinese character words-su” are translated as “2 Chinese characters word-hata” in the BE: 讚嘆, 禮數, 講論, 敎化 etc. Final one is translated as “2 Chinese characters word-hata” that is different from original text of Lotus sutra: 讚歎, 講論, 慰勞, 敎化 etc. These 3 patterns may indicate that these words established a “2 Chinese characters word-hata.” On the other hands, there are some cases of “2 Chinese characters-su” in the WH are translated as Korean origin words in BE: 知識せら-아논, 退轉せ-믈리그우디, 歡喜し-깃거, 具足したまふ-시고. These Buddhist idioms are usually used at present, but they are not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vocabulary of those days. When the part of speech in the 2 languages are inconsistent, verbs are translated into phrase instead of words or have not translated words, and difference in understanding between WH and BE. However, there is no semantic dif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