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둔륜(遁倫)의 심식설(心識說)-『능가경(楞伽經)』과의 사상적 융합 (Dunryun’s theory of mind and consciousness in Yugaron-g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09
30P 미리보기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둔륜(遁倫)의 심식설(心識說)-『능가경(楞伽經)』과의 사상적 융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60권 / 141 ~ 170페이지
    · 저자명 : 백진순

    초록

    『유가론기』의 저자 둔륜은 8식설과 심(心)・의(意)・식(識)에 대한 기본 관점을 현장계 학자들과 공유하며, 이에 관한 해석에서는 『성유식론(成唯識論)』과의 논리적 정합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아뢰야식에 내포된 종교적・철학적 의미와 관련해서는 『성유식론』을 과감하게 넘어서서 다른 대승 경론과의 사상적 융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려 하였다. 둔륜은 특히 『유가론』의 아뢰야식(阿賴耶識)과 아마라식(阿摩羅識)・여래장(如來藏)이라는 개념 간의 조화를 모색하면서 『능가경(楞伽經)』을 적극 활용하였다. 그에 따르면, 일체종자를 담지하는 아뢰야식이 곧 여래장이고, 이 여래장의 청정한 측면을 일컬어 아마라식이라 한다. 그런데 둔륜이 현장계의 8식설로부터 과감하게 이탈하게 되는 지점은 ‘유식의 원성실성(圓成實性)’ 또는 ‘진여의 공덕’, 『능가경』의 용어로는 ‘여래장성(如來藏性)이 일체 공덕을 구족한다’는 문구의 철학적 의미를 묻는 대목이다. 둔륜에 따르면, 예로부터 여래장성이란 ‘모든 공덕을 생하는 실질적 근원’ 혹은 ‘본유의 무루종자[本有無漏種子]’로 간주되었다. 중국 유식제가들의 간에는 신(新)・구(舊)를 불문하고 시대마다 유사한 논쟁이 재현된다. 즉, 철학적 논리의 엄밀성을 추구하는 학자들은 오직 유위(有爲)의 아뢰야식 차원에서 인과의 공덕이나 본유종자를 논해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나 철학적 논리의 막다른 곳에서 ‘무위(無爲)의 진여가 불가사의한 방식으로 모든 공덕을 생한다’는 주장도 여전히 설득력을 지닌다.
    이러한 논쟁은 ‘아뢰야식에 의거해서 인과를 논하는가, 진여에 의거해서 인과를 논하는가’ 하는 차이에서 비롯된다. 이에 대한 둔륜의 태도는 ‘어느 하나만을 기준으로 삼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둔륜의 사상적 경향이 현장계로부터 어느 정도 멀어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후대로 갈수록 한 주석가가 다루어야 할 이질적 학설들의 범위가 더 광범위해지고 유사한 논쟁이 반복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러한 둔륜의 포괄적・종합적 태도는 자연스러운 것이고 또 평가받을만한 것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In the Yugarongi (瑜伽論記) by Dunryun (遁倫),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f the commentaries by the new and old, learned scholars have been compiled.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author, Dunryun, who appeared in that scripture. Dunryun actively facilitated Lankāvatāra-sūtra (楞伽經), searching the harmony among the concepts of “ālayavijñāna (阿賴耶識)”, “amalavijñāna (阿摩羅識)”, and tathāgatagarbha (如來藏)”. This is particularly apparent in the discussion of the essence of tathāgatagarbha (如來藏性, = tathatā 眞如). According to Dunryun, the essence of tathāgatagarbha was historically considered as the “fundamental source of all guṇa-s (功德)” or as the “innate undefiled seeds.” Therefore, endless debates of similar agendas take place among Chinese yogācāra scholars. In other words, scholars pursuing strictness of philosophical logic advocate seeds based on ālayavijñāna and the guṇa-s that stem out from the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cholars who adhere to the perspective that “tathatā embraces seeds in a mysterious way and produces guṇa-s.” Dunryun states that one should not “pursue only one perspective.” Dunryun clarif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and attempt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agenda through such differences. The key characteristic of Dunryun is resuming an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tance for different theories in approaching issues of mind and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