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경의 편집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octrinal Background of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4
30P 미리보기
화엄경의 편집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0호 / 105 ~ 134페이지
    · 저자명 : 석길암

    초록

    본 논문은 화엄경 편집의 사상적 의도를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화엄경의 편집시기와 그것이 편집되던 불교사회의 내부적 배경에 대한 유추를 시도한 것이다.
    편집의 사상적 의도에 대해서는, 별행경과 『육십화엄』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첫째 ‘여래출현’ 혹은 ‘여래성기’라는 관점의 확장, 둘째 법회 서분과 결분에 정형화되어 나타나는 동명동호(同名同號)의 다불(多佛)·다보살(多菩薩)이 화현(化現)하는 구조의 의미와 그 확장, 그리고 경명 중의 ‘방광(方廣)’과 경 전반에 걸친 성문(聲聞)에 대한 입장 등이 그것이다.
    검토 결과, 화엄경의 편집은 별행경(別行經)의 유통, 성문·소승의 불전으로부터 ‘비불략(毘佛略, vaipulya)’을 ‘보살장’ ‘대승’ ‘마하연’으로 구분하는 경론들의 한역(漢譯) 시기로부터 유추할 때 대략 4세기 초반에서 4세기 중엽에 이르는 시기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화엄경이 편집된 불교사회는 불탑신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동시에 아비달마 불교가 흥성했던 지역, 그러면서 대승경전이 지속적으로 출현하였던 곳이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doctrinal intention in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in order to infer the date of its editing and the internal background of the Buddhist society in the editing process.
    As for the doctrinal intention in the editing, the investigation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ly independent scriptures and the Flower Garland Sutra of 60 fascicles. The difference is prominent, firstly, in the expansion of the no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Tathāgata’ or ‘arising of the Tathāgata nature,’ secondly, in the significance and expansion of the structure of the incarnation of multiple Buddhas and Bodhisattvas with the same names and pen names which appear with typified forms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of dharma talks, and in the approach to the sutra title of ‘vaipulya’ and sravakas throughout the sutra.
    As a result of the above investigation, the editing of the Flower Garland Sutra, when it is inferred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originally independent scriptures and the dates of chines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treatises distinguishing vaipulya (毘佛略) and the Buddhist texts by sravakas in the Hinayana Buddhism by the terms of ‘pusazang’ (菩薩藏), ‘dasheng’ (大乘), and ‘maheyan’ (摩訶衍), is supposed to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In addition, the Buddhist society in the editing process is supposed to be characterized by stupa worship, the thriving of the Abhidharma Buddhism, and the continuous appearance of Mahayana sutr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