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涅槃經』의 禪觀 小考 - 佛性사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hilosophy of Seon in the Mahāparinibbānasuttana: the Buddha Natur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9.08
46P 미리보기
『涅槃經』의 禪觀 小考 - 佛性사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3호 / 275 ~ 320페이지
    · 저자명 : 신명희

    초록

    『涅槃經』[Mahāparinibbānasutra]은 두 종류가 있는데,『小乘涅槃經,(Hīnayāna-Mahāparinibbānasutra)』과『大乘涅槃經(Mahāyāna-Mahāparinibbānasutra)』이다. 두『열반경』은 석존의 入滅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부처님의 마지막 교훈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 논문은『대승열반경』을 원전으로 하였다.
    『대승열반경』은 중기 대승불교 경전에 속하는 여래장계 경전이다. 경전 이름인 ‘涅槃’[nirvāṇa]이란 '滅度ㆍ入滅'이라 한역되며 죽음을 뜻하는 말이 아니라, 번뇌가 사라진 고요한 상태를 말한다. 즉 궁극적인 최고의 경지이다. 열반을 주제로 하는『열반경』은 모든 중생이 佛性[Buddha-dhātu]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중요 테마이다.
    진리와 일체가 된 如來[Tathāgata]는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방편으로 色身[Rūpa-kāya]을 나타낸 것일 뿐, 본래의 여래는 시ㆍ공간을 초월해 상주하는 法身[Dhārma-kāya]이다. 이 법신은 常樂我淨 涅槃四德을 갖춘 如來로서 大涅槃[Mahā-nirvana]에 편안히 머물고 있기 때문에 變易하지 않는다.
    法身이 상주하는 여래의 성품인 불성은 마치 소금이나 꿀이 어디에 섞이더라도 본성이 살아 있는 것처럼, 어떤 번뇌에 섞이더라도 불성이 존재한다. 그런데 모든 중생이 불성을 가지고 있다고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수행을 통해 불성이 개발된다. 또한 극악무도하고 오역죄를 지은 一闡提[Icchantika]일지라도 성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 경전에서 설하고 있다.
    이 불성사상은 여러 대승경전 속에 自性ㆍ本性ㆍ一乘ㆍ如來性起[Tathāgata-gotra-saṃbhava]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고 있으며『여래장경』에서는 如來藏[Tathāgata-garbha]ㆍ大乘ㆍ佛藏ㆍ如來界ㆍ如來性이라고 하였다. 한편 불성은 중국 선종에 頓悟 見性이라는 선사상 체계를 세우는데 영향을 미쳤다. 또한 看話禪의 活句는 불성이라는 말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지만 이 불성에 대한 자각이 주를 이룬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kinds of the Mahāparinibbānasuttana: "Hīnayāna-Mahāparinibbānasutra” and "Mahāyāna-Mahāparinibbānasutra” These two sutras ar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of Sakyamuni Buddha’s final nirvana and his last teaching. This study refers to the Mahāyāna-Mahāparinibbāna sutra.
    The Mahāyāna-Mahāparinibbānasutra is one of the Tathagata garbha sutras belonging to middle Mahayaha Buddhism. The word ‘ nirvana’ was translated into ‘death or extinguishment’ (入滅')in Chinese meaning. However it does not mean death but the ultimate supreme state in which afflictions and suffering are ended. That is to say, it is the ultimate realm. The main theme of the Mahāparinibbāna sutra is that all beings have the Buddha nature (Buddha-dhātu).
    The Tathāgata appeared as transformation body in order to save all beings by skillful means; originally Tathāgata is the dharma body (Dharma-kaya) which pervades beyond time and space. The dharma body is Tathagatha having the four virtues of enlightenment –permanence, supreme joy, true self & purification. The dharma body is eternally immovable because the Great enlightenment ( Maha nirvana) was attained.
    The Buddha nature exists even though being mixed with delusion or suffering, as the original nature of salt or honey continues even though being mixed with others. Though all beings have the Buddha nature, all of them cannot attain enlightenment without cultivation. On the other hand, this sutra states the possibility that brutal Icchantika who committed major crimes can become a Buddha.
    The philosophy of the Buddha nature is described in the various Mahayana sutras by such words, ‘the original nature’, ‘one vehicle’, and Tathāgata-gotra-saṃbhava’; in the Tathāgata garbha sutra it was stated in terms of ‘Tathāgata garbha(Treasure of the Tathāgata )’, ‘the Great vehicle’, Buddha Garbha, ‘Tathagata world.’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the Buddha nature influenced the Chinese Cha’n sect to establish the Cha’n thoughts, ‘sudden awakening and discovering one’s Buddha nature’. And Hwadu in Ganhwa Seon externally does not deal with the Buddha nature, but self-awakening of the Buddha nature is internally emphas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