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王京 출토 銘文土器의 생산과 유통 (Production & Circulation of ‘Earthenware with letters’ found from the Shilla Capita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3
34P 미리보기
新羅 王京 출토 銘文土器의 생산과 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3호 / 125 ~ 158페이지
    · 저자명 : 김재홍

    초록

    이 글은 신라 왕경의 생산지인 花谷里 토기생산유적과 소비지인 왕궁(月城, 月池),사원, 交叉路, 건물지 등 왕경유적의 토기명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신라 통일기 토기의 생산과 유통을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단순히 문자만을 분석한 것이 아니라 명문토기가 출토된 고고학적인 환경인 생산 및 소비유적을 고려하면서 遺蹟의 성격, 土器, 文字 등을 종합적으로 연결하여 분석하는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화곡리 생산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명문을 분석하여 토기의 종류, 문자 기입방법(刻書, 押印), 記入 위치 등의 외형적 조건뿐만 아니라 문자의 내용도 해명하였다. 이를 기초로 왕경 소비지에서 출토된 명문토기도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지와 소비지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명문은 ①工人이나 검수자(官司・官人), ②용기의 명칭과 용량, ③祭儀 및 方向 표시, ④보관시설(창고, 대형토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라 통일기에 토기와 기와의 생산을 담당하였던 官司는 瓦器典이며, 토기나 기와는 모두 瓦로 통칭되었다. 토기생산유적에서 생산된 토기 중에는 工人이나 주문한 검수자인 官司(官人)의 명칭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관사나 인물의 명칭이 모두 기입되는 경우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한 글자만 기입하는 예도 있다. 생산된 토기는 창고에 보관되었으며, 용기의 종류(瓮, 瓷, 甁, 缶)나 용량(十石, 一斗)을 기입하여 창고에 수납하였다. 근거리에 위치한 토기가마에서 생산된 토기는 왕경의 소비지로 공급되어 생활용기로 활용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화곡리 생산유적과 왕경의 소비지에서 출토된 명문토기는 생산과 유통을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생산지와 소비지 간의 관계를 해명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inscriptions found upon the serface of earthenware excavated from both the earthenware production facility at Hwa’gok-ri/花谷里 which was a production center nearby the Shilla capital, and other sites as well, where these earthenware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such as the royal palace(Weol-seong/月城, Weol-ji/月池), Buddhist temples, intersections and structural vestiges located inside the late capital city. Through such examination,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of ‘Earthenware with letters(“lettered earthenware”)’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are analyzed here. Not only the letters but also the conditions of the vestiges (of either production facilities or consumption sites) were accounted for, in order to appropriately analyze the nature of the found artifacts, which would have undoubtedly been defined by circumstantial elements as well.
    Examination of inscriptions, found upon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Hwa’gok-ri vestige, revealed the ‘types’ of the earthenware, the fashion of inscription(carving[刻書], sealing[押印]), the position of inscriptions, and the contents of those inscriptions. Similar information were also drawn from the inscriptions found upon earthenware excavated from sites where they were presumably consumed. Information from the inscription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① Identity of the technician or inspector(governmental official) ② Name and capacity of the artifact ③Ceremony in which the artifact was used ④ Facility where the artifact was preserved.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the governmental office which was in charge of producing earthenware and roof tiles was the “Wagi-jeon” office. Earthenware and rooftiles were all called as “Wa/瓦.” Found among the earthenware produced from the earthenware production vestige are some Wa artifacts that show the name of the technician(Gong’in/工人) or the name of the office (or official) which (or who) ordered the production and later inspected the outcome. Sometimes the name of both the officeand a person were all inscribed upon the surface, but sometimes only one letter wasdone so. All the produced earthenware were put in custody of the warehouses, and the type of utensil (such as Ong/瓮, Ja/瓷, Byeong/甁, Bu/缶) or the capacity(“10Seok/石units,” “1 Du/斗unit,” etc.) were recorded when they were submit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