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景幾體歌의 불교문화 수용양상 연구 (A Study on Acceptance of Buddhist Culture in Gyeonggi-cheg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10
28P 미리보기
景幾體歌의 불교문화 수용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21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조평환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초기에 불교문화를 수용하여 제작 가창한 <彌陀讚> <安養讚> <彌陀經讚> <西方歌> <騎牛牧童歌> 등 다섯 편의 경기체가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절차는 먼저 護佛弘法의 방편의 일환으로 경기체가를 지은 작가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다음으로 경기체가에 나타난 불교문화의 수용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등 3편의 경기체가를 창작한 涵虛己和, <서방가>를 창작한 義相和尙(가칭), <기우목동가>를 창작한 末繼智訔 등 세 분은, 억불숭유 정책이 강행된 조선 초기에 활약했던 승려들로 불교 홍보 내지 수호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기에 척불 정책이 강행된 상황 속에서도 불교 포교를 위한 경기체가를 창작하여 불교 수호에 앞장섰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涵虛己和는 護佛論인 『顯正論)』을 통해서 불교의 우수성을 융통성 있게 드러냄과 동시에 儒彿會通 사상까지 거론하여, 鄭道傳과는 격이 다른 방법으로 불교의 本旨를 수호하는데 앞장섰던 분으로서, 한국 불교사에 큰 족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된다.
    涵虛己和가 창작한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과 義相和尙(가칭)이 제작 가창한 <서방가> 등 네 편은 淨土信仰의 主佛인 아미타불과 극락세계의 장엄 수승함을 찬양한 것이고, 末繼智訔이 창작한 <기우목동가> 1편은 참선 수행을 통해 깨달은 見性 涅槃 내지 寂滅 解脫의 경지를 시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 <기우목동가> 등 4편은 변격 형 경기체가이고, <서방가> 1편만 정격 형 경기체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발달사적 측면에서 볼 때 <서방가>는 경기체가의 완성기에 창작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義相和尙이 제작 가창한 <서방가>의 창작연대가 涵虛己和의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등과 末繼智訔의 <기우목동가>보다 앞서거나 또는 동시대일 것으로 간주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five Gyeonggi-chega, Mitachan, Anyangchan, Mitagyeongchan, Seobangga and Giwumokdongga which composed and sung by accepting the Buddhist culture in early Joseon period. First, the artists reflecting Buddhist culture on Gyeonggi-chega were examined and the acceptance of Buddhist culture observed in Gyeonggi-checa was analyzed.
    Ham Heo who created three Gyeonggi-chega, Mitachan, Anyangchan and Mitagyeongchan, Uisang Hwasang who composed Seobangga and Malgye Jieun who composed Giwumokdongga were monks in early Joseon period when Buddhism was rejected and Confucianism was revered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policy. Then, they seemed to have special interest on protecting Buddhism. In that reason, they could lead the activity to protect Buddhism by creating Gyeonggi-chega for spreading Buddhism even though the national policy to reject Buddhism and to revere Confucianism was implemented.
    In particular, Ham Heo acknowledged the superiority of Buddhism by his work "Hyeonjeongron", the theory advocating Buddhism, in the way to be suitable in the circumstances of his times. Furthermore, he discussed about the interconnectednes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He took the initiative to protect main objects of Buddhism in the approach which was not in the same level as Jeongdojeon. He was evaluated to le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uddhism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acceptance of Buddhist culture, "Mitachan", "Anyangchan" and "Mitagyeongchan" by Ham Heo and "Seobangga" by Uisang Hwasang praised AAmitabha Buddha, the main Buddha in Jeongto Sinang(Worship of Amitabha) and solemnity and superiority of Sukkavati(Buddhist heaven). "Giwumokdongga" by Malgye Jieun illsutrated Nirvana and brightness recognized through Buddhist meditations in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