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도 동막 도당굿의 문학적 연구 (Literary Value of Dongmak DodangKu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2
24P 미리보기
경기도 동막 도당굿의 문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28호 / 61 ~ 84페이지
    · 저자명 : 신연우

    초록

    이 논문은 1984년 4월 2~3일에 있었던 동막도당굿에서 특히 화랭이가 이끌었던 굿거리인 시루말, 군웅노정기, 뒷전을 중심으로 경기도 도당굿의 문학적 국면을 살펴본 것이다. 동막굿은 흔히 화랭이굿이라고 하는 만큼 남자 무당인 화랭이의 역할이 크다. 특히 중요한 굿거리들에서 화랭이들의 무가 사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시루말은 창세신화이다. 시루말의 사설을 들으면서 우리들은 우선 시간적으로 아득한 태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의 시간이 아닌 태초의 시간에 대해 인식하게 된다. 또한 그 시간에 이루어진 혼란과 질서를 이룬 당칠성과 선문이 후문이 등의 초월적 존재를 통하여 숭고함의 체험을 하게 된다. 일상성을 벗어나는 시간과 숭고함이라는 인식의 확대를 경험하는 것이다.
    이 초월성이 현실의 바탕이 된다는 인식이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인간의 삶은 현실에서 이루어지지만 현실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현실은 가변적이기만 하다. 장래는 알 수 없고 현재는 요동한다. 재앙과 질병의 위협은 현재를 늘 위협한다. 이 속에서 인간은 현재를 탄탄하게 하고 장래를 보장할 초월성에 기댄다. 초월적인 존재는 우리의 유동적인 현실을 탄탄하게 정립해준다고 기대된다. 초월성 없이는 현실의 지속성을 보장할 수 없는 것이다.
    군웅굿과 군웅노정기는 바로 그러한 초월적 존재가 우리 마을로 옮아오는 과정과 그 효과를 노래한다. 군웅이 오는 목적은 바로 우리 현실을 안정시키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군웅굿은 대단히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소망들로 채워져 있다.
    뒷전에 나오는 인물과 관계된 특징이라고 하자면, 보통사람보다 매우 어렵게 사는 사람의 비속하고 열등한 삶의 모습이거나 죽음과 관계된 잡귀들의 모습이다. 이들 비속하고 열등한 존재 역시, 초월적 존재가 그렇듯이, 우리의 현실 삶을 지탱하는 또 하나의 기둥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우리의 현실 삶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위로는 초월적 힘이 아래로는 죽음과 같은 비속한 존재의 힘이 영향을 미친다. 지금과 여기만을 생각하는 동물적 인식에서 벗어나는 것은 저 위와 아래, 과거와 미래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막이라는 아주 작은 마을 단위에서 사람들은 마을굿의 사설들을 통하여 보이는 지금의 삶을 이루는, 보이지 않는 과거와 미래, 초월과 비속함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다고 보인다. 그것이 전통시대의 구비문학으로서의 마을굿 무가가 갖는 중요한 기능이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들이 구조적으로 대단히 유기적으로 짜여있으며 말과 노래의 형식적 틀 또한 내용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치밀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male shaman in Dongmak DodangKut in Kyonggi Province are called Hwaraeng-i, and they take the leading role in shamanistic music and narratives. This paper in on the literary value of the narratives of Sirumal, Goonwoongkut, and Duitcheon of Dongmak DodangKut which took place in April 2-3, 1984 at DongmakDong, Incheon, Kyonggi Province,Sirumal is a kind of creation myth. Hearing the words of Sirumal, one could get to the Time of the Beginning, in illo tempore, and the Primal Chaos. We could meet the transcendental characters, such as Dangchilsung, Sunmoon-i, Hoomoon-i, and we experience some kind of sublime through them.
    We humans are aware that this transcendence is the base of the reality we live by. we can not assure ourselves of the durability of our world without any kind of transcendence. The transcendental beings are expected to set up our presence solid and reliable.
    GoonwoongKut and Goonwoong Nojunggi tell us the process of the transcendental being's coming down to our village, and Hwaraeng-i narrates the blessings we expect for the whole year. Therefore Goonwoongkut is filled with our wishes of everyday life. So in the process of Goonwoongkut, fortune-tellings are given to each villagers by shamans.
    Two main characters of Duitcheon are (1) persons of crudity and inferiority, (2) victimized souls related to regretful death. These crude and inferior beings are also the other pillar of our everyday life as is the transcendental beings.
    Dongmak is a very small village. The villagers live in there all through their life. The contents of the narratives of the shamans in the Dongmak DodangKut enable them to be aware of the invisible powers sustaining our visible life. From the point of oral literature, we can say that it may be the important function of Dongmak DodangKut in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