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측의 『해심밀경소』 「지바라밀다품」과 법장의 『화엄경탐현기』 십지론의 관계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etween Hwaeomgyeong Tamhyeongi and Haesimmilgyeongso which can be known through Discussion on the Daśabhumi Theory of Bodhisattv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원측의 『해심밀경소』 「지바라밀다품」과 법장의 『화엄경탐현기』 십지론의 관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83호 / 61 ~ 88페이지
    · 저자명 : 김성은

    초록

    원측과 법장의 스승인 지엄은 법상으로부터 섭론학을 수학하였다. 또한, 지바하라가 참여한 번역 사업과 실차난타의 『화엄경』 번역에 원측과 법장 모두 참여한 바 있다. 이러한 사적에 의한다면 원측과 법장의 직․간접적인 교류의 가능성이 높고 사상적 영향관계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법장의 『화엄경탐현기』 찬술이 원측의 『해심밀경소』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탐현기』 의 십지에 대한 논의에 한정하여 규명한다. 십지사상에 대한 원측의 유식학적 해명이 법장을 통해 화엄사상 속에 내재화되는 과정을 밝히는 하나의 계기가 될 것이다.
    『해심밀경소』 「지바라밀다품」에서 십지를 개별적으로 논의하는 세 개의 장은 『탐현기』 십지론 제1~제6문에 걸쳐 대응관계가 확인된다. 『탐현기』 십지론에 「지바라밀다품」의 텍스트가 재구성되어 있는데, 두 품 간 같은 내용의 단락들에 같은 번호를 매김으로써 그러한 정황이 파악되도록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경문에 대한 해석, 인용 논서와 그에 대한 해석, 주석구성의 내적논리 등이 「지바라밀다품」 원측소로부터 『탐현기』 십지론으로 원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황은 원측과 법장, 나아가 유식사상과 화엄사상의 영향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두 가지 작업가설을 마련해준다. 첫째, 당대 법상종에 대항한 화엄종의 정체성 확립과 화엄사상의 체계화에 유식사상의 구도가 요구되었고, 이에 원측의 교학이 법장에 의해 절대적인 신뢰를 받으며 원용되고 있다. 둘째, 원측 교학에 내재되어 있는 포월(抱越)의 이념과, 화엄종의 대성자로서 자리매김될 수 있었던 법장의 성상융회(性相融會)의 지평은, 공통된 사상적 지향을 지니고 있으며, 원측의 유식사상과 법장의 화엄사상 간 직․간접적인 영향관계에 토대를 두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alls attention to problems as to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華嚴思想)’. So far, no definitive answer has been given to the ‘Yogācāra thought(唯識思想)’s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 ‘the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of Bodhisattva’(十地思想) expressed between the two is an important topic to solve this problem.
    What I try to do in this paper is to the question of Woncheuk's Yogācāra thought'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Hua-yen thought by Beopjang(法藏 , Ch. Fazang; 643-712). Beopjang understanded Yogācāra thought through Woncheuk(圓測, Ch.Yuance; 613-696)'s text.
    The ideas of the Hwaeomgyeong Tamhyeongi(華嚴經探玄記, Ch. Huayanjing Tanxuanji, Commentary on Avataṃsaka-sῡtra) were influenced by the Haesimmilgyeong so(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shu,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written by Woncheuk. Especially, Beopjang systematized understanding of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of Bodhisattva by the text written by Woncheuk.
    In exploring the questions of this theme, this paper will be limited to Thought of Daśabhumi Theory within the Jibaramildapum(地波羅蜜多品, The third chapter of the Haesimmilgyeongso) and Hwaeomgyeong Tamhyeongi. Beopjang constructed the latter by using the former.
    My approach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ext analysis mainly about Dharmamegh(法雲地). It's results strongly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Woncheuk's Yogācāra thought had so great influence on the shaping of Hua-yen thought by Beopj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