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雙龍文鏡의 계보와 용도 (Lineages and Uses of Goryeo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06
36P 미리보기
고려 雙龍文鏡의 계보와 용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6호 / 97 ~ 132페이지
    · 저자명 : 정수희

    초록

    쌍룡문경은 거울 뒷면에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빙빙 감돌고 있는 형상을 새긴 동경을 말한다. 고려의 쌍룡문경은 현재 국내외에 170점이 남아 있으며, 두 마리 용과 함께 보주, 구름, 향로, 파도 등의 문양을 조합한 10여 가지가 넘는 다양한 양식으로 제작되었다.
    고려의 쌍룡문경은 크게 중국(송․요․금)계와 고려계 두 가지 계보로 분류된다. 중국계 쌍룡문경은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고려로 유입되어 이를 再鑄하거나 倣製한 동경을 말한다. 雙龍寶珠文雲文帶鏡, 雙龍流雲文鏡, 雙龍香爐文鏡이 여기에 해당하며, 고려 쌍룡문경의 71%(124점)를 차지한다. 고려계 쌍룡문경은 고려 독자적 양식으로 창안된 동경을 말한다. 雙龍文蓮花唐草文帶鏡, 雙龍波濤文鏡, 雙龍文寶珠鈕鏡이 있으며, 고려 쌍룡문경 중 11%(19점) 정도이다.
    고려 쌍룡문경은 주로 수도 개경과 주변 지역에 집중하여 출토되며, 사용자의 신분에 제약이 있는 문양의 특수성으로 보아 귀족 이상의 신분이 사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용도는 일상생활용구, 분묘 부장용, 단오일 헌상 및 하사용, 기우 의식용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먼저 고려 쌍룡문경은 대부분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어 고대부터 전해지는 장례 풍습과 연관된 분묘 부장용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당대부터 단오일 龍鏡을 주조하고 이를 헌상 및 하사하는 풍습이 있었다. 고려에서도 이러한 풍습을 인지하고 있어 이와 같은 용도로 쌍룡문경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단오일 용경으로 제사 지내니 가뭄에 큰 비를 얻었다”는 고사가 함께 전하여 쌍룡문경은 기우 의식용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매우 크다. 이는 고려시대에 무속, 도교, 불교적 방식으로 많은 기우 의식이 시행되는 점과 연관된다. 개성 普濟寺에서 시행된 기우제에 거울이 사용된 기록이 전하며, 여러 불교 경전에는 용에게 비를 청하는 祈雨法을 설하는 내용이 있다. 특히 고려계 쌍룡문경은 소수지만 각 양식마다 문양이 섬세하고 주조 품질이 뛰어난 原鏡이 있고, 대부분 22.5cm가 넘으면서 소위 ‘天子의 거울’이라 불리는 28.5cm 이상의 대형 동경도 6점이나 확인된다. 이 거울은 아마도 기우제와 같이 특별한 용도를 위해 고려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term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 denotes one decorated with two dragons entwined in a relief pattern on its reverse side. Some 170 Goryeo-era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survive today, in Korea and abroad. These were produced in approximately 10 different styles, featuring various combinations of other motifs including precious beads, clouds, incense burners and waves.
    Goryeo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can broadly be categorized into two lineages: those of China (Song, Liao or Jin) and those of Goryeo. Chinese-lineage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entered Goryeo through trade with China: these are known as ‘duplicate’ or ‘modified duplicate’ bronze mirrors. Varieties belonging to these types include ‘double dragon, precious bead and cloud pattern band,’ ‘double dragon and flowing cloud pattern’ and ‘double dragon and incense burner pattern.’ These account for 71 percent (124) of extant Goryeo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Goryeo-lineage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are those that feature styles created independently in Goryeo. These include varieties such as ‘double dragon with lotus flower and arabesque pattern band,’ ‘double dragon and wave pattern’ and ‘double dragon pattern with a precious bead-patterned knob.’ These account for 11 percent (19) of extant Goryeo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Goryeo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are generally excavated from the site of the former Goryeo capital Gaegyeong and the surrounding area. Judging by the patterns they feature, the use of which was restricted according to social status, they are thought to have been used by those of noble status or higher.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are thought to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as everyday items, as grave goods placed in tombs, as offerings or gifts at the Dano Festival, and in rain rituals. Firstly, the fact that most Goryeo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were excavated from tombs indicates that they were used as grave goods, as part of ancient burial customs. In China, a custom of casting bronze mirrors and using them as offerings to superiors or gifts to inferiors existed from the Tang Dynasty. It is possible that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were used for this purpose in Goryeo too, since there was awareness of this Chinese custom in Goryeo.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an old story describing how “when a ritual was performed with dragon mirrors on Dano, the drought was broken by heavy rain” makes it highly likely that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were also used in rain rituals.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many rain rituals were performed in Goryeo, using shamanistic, Taoist and Buddhist methods. One record indicates that a mirror was used in a rain ritual at Bojesa Temple in Gaeseong, while several Buddhist scriptures describe a method of praying for rain by appealing to a dragon. Goryeo-lineage double dragon-patterned mirrors, while constituting a minority of extant examples, include high quality original-mold castings of finely patterned pieces in each style. Most measure at least 22.5cm in diameter, while six belong to a large type known as “emperor’s mirrors,” measuring at least 28.5cm in diameter. These mirrors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in Goryeo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conducting rain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