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병(病)’을 통해서 본 믿음의 본질 - 『유마경(維摩經)』과 『동경대전(東經大全)』을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Faith by the Diseases : Vimalakirti-nirdesa-Sutra and the Scripture of Donghak)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12
37P 미리보기
‘병(病)’을 통해서 본 믿음의 본질 - 『유마경(維摩經)』과 『동경대전(東經大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64호 / 163 ~ 199페이지
    · 저자명 : 안호영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수운과 유마힐이 보여준 믿음의 본질과 탐구의 여정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운과 유마힐이 보여준 삶의 행적과 믿음 그리고 그들이 사회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한 논의들을 참고하고, 또 「좌잠」에 등장하는 구절 “불박진념기(不怕塵念起), 유공각래지(惟恐覺來知)”와 『수심결(修心訣)』의 구절 “불박념기(不怕念起), 유공각지(惟恐覺遲)”를 비교함으로써 논의를 진행한다.
    먼저, 수운과 유마힐이 자기 자신(自身)을 한 발짝도 떠나지 않고 자신의 소리를 듣고서 자신(自信)에 도달하는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이어서 수운과 유마힐은 민중과 중생이 곧 하늘님이자 부처임을 천명하는데, 왜 민중과 중생들 스스로는 하늘이자 부처임을 자각하지 못하는가를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그들이 어떻게 민중과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믿음의 본질과 치료의 실천성을 논의할것이다.
    이러한 논의에서 유마힐과 수운이 말하는 마음의 ‘병’이 무엇인지 자신하고 자증함으로써, ‘범부즉부처’ 또는 ‘중생즉천주’임을 스스로 확인한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들은 진단한 ‘병’이 말과 글에 의지해서는 치료될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오심즉여심’과 ‘범부즉부처’가 믿음의 본질이자, 이를 실천하는 것이 ‘병’을 치료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Referring to the discussions on the lives and beliefs of Suwoon and Vimalakirti and their influence on society, and comparing the passages of the ‘motto’(座箴), “Don’t be afraid of distractions, only be enlightened and worry about reaching knowledge.”(不怕塵 念起 惟恐覺來知) and the ones of the Susimgyeol(『修心訣』), “Do not be afraid of the arising of a thought, but be afraid of being late in noticing the arising of a thought.”(不怕念起 惟恐覺遲), we try to examine the essence of faith and the journey of inquiry shown by them.
    First, we will analyze the process by which Suwoon and Vimalakirti reach their confidence by listening to their own voices without leaving themselves. Next, although Suwoon and Vimalakirti declare that the people(民衆) and all sentient beings(衆生) are also respectively Cheonju(the heavenly god, 天 主) and Buddha(佛), and we will analyze why the people and sentient beings themselves do not realize that they are Cheonju and Buddha. Finally, we will discuss the essence of faith and the practicality of treatment by analyzing how they treat the diseases of the common people and sentient beings.
    It is very important that Suwoon and Vimalakirti confirm themselves that “the people is Cheonju” and “the sentient beings is Buddha” by believing-in-oneself and self-affirming what the disease of the mind is that they are talking about. It makes it clear that the disease they diagnosed cannot be cured by relying on words and writings, and shows that “my heart is your heart” and “the sentient beings is Buddha” are the essence of faith, and practicing them is to cure the dise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