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옹기 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사상 (Peace Thoughts by Stephen Cardinal Kim Sou-Hw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옹기 김수환 추기경의 평화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과 평화 / 10권 / 1호 / 161 ~ 186페이지
    · 저자명 : 박일영

    초록

    김수환은 이 땅에서 천주교가 박해를 받던 시절부터 천주교 신앙을 지켜온 유서 깊은 신앙가문의 후손이다. 김수환이 천주교 신부로 사제서품을 받은 시기는 한국전쟁으로 우리 민족의 고통이 극에 달해 있던 바로 그 때이었다. 일본과 독일에서 유학한 그는 ‘그리스도교 사회론’을 전공하였다. 김수환은 1987년 이전에는 주로 인권회복과 정의구현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정치적 민주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1987년 이후에는 민족의 화해와 일치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인간이 되기까지 자신을 최대한 낮춘 하느님의 모습을 본받아 나 자신부터 평화(shalom)를 실천하고, 이 세상에 실현시키려는 것이 김수환이 평생 간직하였던 자세라고 할 수 있다. 김수환은 평화 이론가라기보다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용기 있는 모범을 보여준 실천가였다. 김수환의 평화 개념은 ‘하느님의 [인간사랑이라는] 뜻이 온전히 실현된 상태’에 해당한다. 김수환은 스스로가 본보기를 보였듯이, 이러한 평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상에서의 실천’을 강조한다. 김수환은 교회의 공식문헌을 인용하면서, ‘소극적 평화인 전쟁이 없는 상태’를 넘어서서 ‘정의의 실현’으로써 이룩되는 ‘적극적 평화’ 개념을 소개하며 그 실천 방안을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을 통하여 제시한다.
    이런 맥락에서 김수환이 실천한 ‘평화감행’의 여정은 특정 종교라는 테두리를 넘어서서, 보편적 인간과 사회 전반에 걸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김수환이 참 평화의 구체적 내용으로 강조한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 생명의 소중함, 정의의 실현, 세계를 향한 개방, 생활 속의 실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등의 주요 원리는 단지 어느 종교단체의 교리나, 일부 정치 집단의 논리에 국한하지 않는다. 김수환의 평화 이해와 그 특징에 대한 정리와 실천적 사례에 대한 분석은 바야흐로 한반도에서 무르익고 있는 평화적 분위기의 진전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향한 발자취에도 효용성 높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게 된다.

    영어초록

    Stephen Cardinal Kim is a descendant from a historically faithful family that had upheld Catholicism ever since Catholic was persecuted. He was ordained as a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when the pain of Korean people was at its most. He studied abroad in Japan and Germany where he majored in ‘Christian Social Teaching’. Cardinal Kim mainly focused on recovery of humanity and realization of justice until 1987. Since then, with the nation politically democratized to a certain extent, he put more interest in the reconciliation and consonance of the nation.
    Following the example of God who lowered himself to become a human, Cardinal Kim started practicing peace (shalom) from himself and delivered it to the world. He was more of a practitioner than a theorist who showed a brave example from his real life. His concept of peace belongs to ‘the state of entirely realizing the love for human being by God’. As he demonstrated through his life, Cardinal Kim emphasizes ‘practice in everyday life’ to bring peace. Citing official references from church, he introduces the concept of ‘active peace’ that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realization of justice’. It is beyond ‘passive peace’, a state referring to a no-war situation, and Cardinal Kim suggests ways to practice active peace through detailed social context.
    In this context, the journey of ‘dare to peace’ that Cardinal Kim practiced has a meaning across universal humanity and society beyond the framework of a specific religion. The basic principles that Cardinal Kim emphasized as detailed contents of truthful peace including ‘dignity and rights of human, preciousness of life, realization of justice, open to the world, practice in daily life and peace through peaceful means’ are not limited to the doctrines of a religion or the logics of a political group. Understanding the peace concept of Cardinal Kim,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peace, and analyzing his practical examples are expected to be highly useful not only in accordance with the peaceful sentiment that has been ripening in Korea but as one step forward to the reconciliation and consonance of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과 평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