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탑 숭배와 법화경 신앙 (A Study on Worship for Stupas and "The Lotus Sū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불탑 숭배와 법화경 신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5호 / 221 ~ 253페이지
    · 저자명 : 이태영(덕해)

    초록

    『법화경(the Lotus Sūtra)』은 성립 이후에 여러 지역으로 유포되어 현재도 가장 많이 읽고, 쓰고, 기도하는 경전이다. 법화경은 경전 자체가 지극히 신앙적 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불상을 조성하고 탑을 세우는 흔히 ‘조불조탑(造佛造塔)’의 핵심적인 경전이기 때문이다.
    법화경을 불탑 공양 불교에 있어 신앙의 중요한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부파 교단에서 있었던 불탑(stupa) 공양도 있기에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법화경의 내용에 나타난 불탑신앙의 형태 및 전파 과정에서 나타난 법화경 상의불탑신앙을 서적과 자료를 통해 살펴보자 한다. 인도에서 시작된 법화경이 어떠한 신앙 형태를 지니게 되었는지, 실크로드와 중국을 거치면서 어떠한 변용이 되었는지도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할 문제점이다. 실크로드 지역은 한지연, 「서북인도-서역 신앙형성에 나타난 법화 신앙적 요소」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 및 『서역불교교류사』를 주로 참고했으며, 중국 초기 법화신앙 부분은 최은영, 「초기 중국불교사에서 법화경 연구와 신앙형태」와 문무왕, 「중국 초기 석굴에 나타난 법화신앙의 특징」을 참고하였다.
    법화 신앙의 뿌리는 깊다. 논문 한 편으로 정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법화경」은 그 뿌리에 기본적으로 신앙심은 내포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위의 논문의 내용을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법화경』의 시작을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결집(Saṅgīti)되고 첨가되면서 강력한 신앙 불교의 형태를 지닌 경전이 탄생하였다.
    둘째, 『법화경』의 전파 과정상에서 구자국(Kucha)의 역할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륵(Maitreya)신앙이 그 형태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중국에 수용된 『법화경』은 신앙 불교의 핵심을 이루게 되었다.
    넷째, 중국 초기불교 시기의 석굴 조성과정에서 『법화경』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아미타(Amita) 신앙이 유행하기 전까지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었다고 볼 수 있다.
    『법화경』을 중심으로 한 신앙은 인도에서 시작되어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에 까지 전해졌다. 이러한 신앙은 불탑(stūpa)과 불상(Buddha’s image) 조성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은 불교 신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쿠차의 키질(Kizil) 석굴(Buddhist Cave), 운강(Yungang)석굴, 용문(Longmen)석굴 등에 이러한 법화신앙의 요소가 남아있다.

    영어초록

    “The Lotus Sūtra” has been distributed to many different regions since its creation. Even today, it is one of the scriptures that are most read, written, and prayed by. The scripture itself is very devotional as it is the essential scripture in “making Buddha statues and stupas.”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Lotus Sūtra”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 the faith of Buddhism based on stupas and offerings. There is, however, a need to review it more closely since some sects have the practice of stupa offering.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tupa faith in “The Lotus Sūtra” based on its forms and spreading processes described in the scripture by looking into concerned books and materials. The focus should be on what kind of faith form “The Lotus Sūtra” got to develop after its origin in India and what transformation it underwent via the Silk Road and China. The areas of Silk Road were examined in Han Ji-yeon’s “Elements of Lotus Sūtra Faith in the Formation of Faith in Northwestern India -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Establishment of The Lotus Sūtra World in East Asia” and “History of Exchanges in Buddhism in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e study consulted Choi Eun-yeong’s “Research and Faith Forms of The Lotus Sūtra in Early History of Buddhism in China” and Mun Mu-wang’s “Characteristics of Lotus Sūtra Faith in Early Buddhist Caves of China” to examine the early Lotus Sūtra faith of China.
    The Lotus Sūtra Faith has deep roots. It is almost impossible to sort out its history in a single paper. There is basic devotion connoted in the roots of “The Lotus Sūtra.” The papers examined above can be arranged in several points: First,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beginning of “The Lotus Sūtra,” the process of Saṅgīti and addition gave birth to a scripture in a form of strong religious Buddhism.
    Second, Kucha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spreading process of “The Lotus Sūtra,” and Maitreya faith is in its form.
    Third, “The Lotus Sūtra” accepted in China made the core of religious Buddhism.
    And fourth, “The Lotus Sūtra” played critical role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Buddhist caves in the early days of Buddhism in China and carried out central roles until the vogue of Amita fai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