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華嚴經問答』의 敎判思想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Teaching of the Hwaeomgyeong-Munda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9.08
46P 미리보기
『華嚴經問答』의 敎判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3호 / 711 ~ 756페이지
    · 저자명 : 장진영

    초록

    의상의 강의록으로 추정되고 있는 『화엄경문답』에는 좀 더 세분화된 5교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지엄의 초기 저작인 『수현기』에서 언급된 5종 교체를 5교판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런 유형은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다만 이미 지엄의 『공목장』에 이를 진여의 대한 설명에 적용한 사례가 있어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5교판의 세분화된 모습은 점교문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초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을 나눈 계기는 신역 경론의 진여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초교는 본래 空義를 본질로 하는데 시문에 법상유식의 내용을 소속시키고 있다. 그 의지가 眞識이 아닌 妄識이기 때문에 종교에 속하지 못한 것이며, 그 밝힌 진여가 공의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초교 중에서도 시문에 속한 것이다.
    종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은 돈교문과 함께 봐야 하는데, 그것이 『유마경』의 不二法門에 대한 혜원의 說에 대한 3단계의 설명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종교문과 돈교문은 言(가설)과 黙(불가설)으로 구분되고 돈교의 교체도 명확해졌으며, 돈교의 위치도 삼승의 궁극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의상은 돈교를 5교판의 돈교로 보았는데, 『문답』도 이를 따르고 있다고 보며, 다만 돈교를 일승원교보다 삼승의 종교에 더 밀접하게 파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교문 내에서 시문과 종문의 구분은 구유식내에 진식(리야유식)과 망식(의식유식)의 전개방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종교의 시문에 속한 망식은 여래장진식을 의지로 하기 때문에 초교의 시문에 속하는 신유식의 망식(아뢰야식)과는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종교부터 원교까지 표면상 그 교체를 공유하므로 교체만으로는 서로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종교와 돈교는 둘 다 무분별의 理의 입장에서 가설과 불가설의 여부에 따라 구분하게 되었고, 삼승(종교‧돈교)과 일승(원교)과의 구분은 일승에 대한 안목을 갖추었는지 여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ubdivided Teachings in the Huayan appears in the Hwaeomgyeong-Mundap, presumably a transcript of Uisang' lecture. It's overall sketch was at first presented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Five Essentials of Teaching in the SuXuan-Ji earlier written by Zhiyan. The case of using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is rarely found in the other texts than Zhiyan's Kongmu-zhang where Zhiyan introduces the those to explain the tathatā. I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ve teachings in Mundap and Kongmu-zhang. The details of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are elaborated in the Gradual teaching.
    The division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seems to be the influences of the new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related Canons, especially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tathatā. The essence of the teaching of the Beginning is the sūnyatā but includes the consciousness-only theory of the Dharmalakṣaṇa in the Beginning. It doesn't fall within the Final because of not relying on the tathatāgatha and dosen't go into the Ending of the Elementary teaching because of revealing sūnyatā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and of the Sudden teaching, adopts the explanation of three steps of the Speaking of Huiyuan about the Non-dual Dharma in the Vimalakīrti Sutra.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he Verbal and Non-verbal teaching, and Speakable and Non-speakable teaching, in which the Sudden teaching takes place in the ultimate teaching of the Final teachings. This seems corresponding to the Sudden teaching of the Five teachings of Uisang. Only in the Mundap, the Sudden teaching is closer to the Final teaching of the Three Vehicles rather than that of the Perfect teaching of the One Vehicle.
    It seems that the types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in the Final teaching wa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division of the true consciousness and altered false consciousness. They share the meaning of non-sūnyatā because both arise on the strength of tathāgatagarbha including the Old school of Consciousness-only in China. Only they individually divide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ethod of development.
    Finally it seem that it is impossible to divide each other throughout the Essential of Teaching from the Final Teaching to the Perfect Teaching. Therefore the viewpoint of dividing between of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s discover from the view of the Verb on the Principle without differentiation and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Three Vehicle and the One Vehicle is due to whether getting the standpoint of One Vehicle or 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