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화경』의 불타관 (The Buddhakāya of the Lotus Sūt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9.12
39P 미리보기
『법화경』의 불타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1권 / 181 ~ 219페이지
    · 저자명 : 성우(서인렬)

    초록

    먼저 초기 경전과 『법화경』에 나타난 불타관의 원초적 형태를 구성하고있는 자료 검토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법화경』은초기 경전에 나타난 법불일치관의 논지를 충실히 계승하고 있었다. 다만, 초기 경전에 기술된 연기의 이법이 『법화경』}「방편품」 제2 에서 제법실상과묘법으로 전환되고, 일승으로 통일되고 있었다. 둘째, 과거불의 용례에있어서도 두 경전은 현재불과 미래불을 함께 기술한 부분이 적지 않게발견된다. 이것은 불타의 수명이 시간적 영원성으로 이어지는 단초를 제공한 흔적으로 보여진다. 셋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 경전은 여래십호나32상 8 0 종호를 설하면서 여래의 초월성을 점차 부각시켜가고 있었다. 다만, 『법화경』에는 역사상 실재한 석가불의 시간적․공간적 초월성이 돋보인다는 점만 다를 뿐이었다. 따라서 법불일치관, 과거불사상, 여래의 초월성등은 『법화경』의 통일적 불타관을 형성하는데 지대한 기여를 한 것으로판단되었다.
    다음으로 『법화경』에 나타난 불타관의 특징은 세 가지 관점으로 정리될수 있었다. 첫째, 『법화경』은 제법의 통일을 통한 일체 중생의 구제자로써불타관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었다. 『법화경』}이전의 대·소승불교는 일체중생의 성불까지는 폭넓게 설하지 않았다. 반면에 『법화경』에는 성문승, 일천제, 여인, 비구니 등, 일체 중생의 성불수기가 무차별적으로 설해지고있기 때문이다. 둘째, 『법화경』은 다보탑 내 이불병좌의 모습을 통하여법과 불의 일치자로써 불타관을 입체적으로 부각시키고 있었다. 이것은 바로 원시불교, 아비달마불교, 대승불교로 이어지는 법과 부처가 『법화경』 에서 질서정연하게 하나로 통일되는 통일불교( 일승불교) , 즉 일승 정토의참 모습을 형상화시킨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법화경』에서 구원본불의개현은 제불의 통일뿐만 아니라, 대․소승불교의 불타관까지도 통일하려는 큰 밑그림을 그린 것으로 평가된다. 모든 불타관이 역사적 실재의 석가불로 통일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필자는 일체 중생의 구제를 역동적으로 지향하는법화불교의 부활만이 현대불교의 희망이자, 미래불교를 담보하는 유일한지남이 아닐는지 나름의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Buddhakāya of the Lotus Sūtra. I studied the unity of the Dharma and the buddha, the idea of past buddhas, and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the Buddha found in early sutras and the Lotus Sūtra. All these three aspects point to the original concept of Buddhakāya. I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Lotus Sūtra follows the themes of the early sutras faithfully.
    But interdependent origination is described as sarva-dharmatā and saddharma in the Upāya-kauśalya-parivarto nāma dvitīyaḥ. And all the different names for 'truth' are unified as eka-yāna.
    Second, when these sutras (early sutras and the Lotus Sūtra) talk about buddhas, they often describe past buddhas, present buddhas and future buddhas together. That fact seems to indicate the buddha's life span is eternal.
    Third, these sutras (early sutras and the Lotus Sūtra) seem to emphasize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the buddha, as suggested by the ten different names of the buddha, the 32 auspicious signs and the 80 features of the buddha. But Dipakara, who in early sutras is described as the oldest buddha, is introduced in the Lotus Sūtra merely as one of many past buddhas who can't transcend time. But the three aspects mentioned abo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forming the unified Buddhakāya in the Lotus Sūtra.
    Next, the Buddhakāya of the Lotus Sūtr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concluded that the Lotus Sūtra defines a buddha as a savior of all beings and embodies the Buddhakāyaka faithfully through the unity of sarva-dharma. Mahayana Buddhism and Theravada Buddhism before the Lotus Sūtra accepted a limited enlightenment; they didn't talk about enlightenment for all beings. But in the Lotus Sūtra, enlightenment is described as being available to all human beings, including srāvaka'vāyakaraṇa, icchantika, lay women, bhikshunis.
    Second, unity of sarva-dharma and sarva-buddha is expressed dramatically through the image of two buddhas sitting together in rantna-mayāh stūpa. It means that wherever the eternal Shakyamuni Buddha exists, there is the truth of unity of the universe.
    Third, the Lotus Sūtra's declaration that the original buddha is eternal provides a larger picture of unity, not only of the sarva-buddha but also the Buddhakāya in Mahayana Buddhism. The unity of sarva-dharma in the Upāya-kauśalya-parivarto nāma dvitīyaḥ is described as the unity of sarva-buddha in the Tathāgatāyuṣ-pramāṇa-parivarto nāma ṣoḑaśamaḥ.
    Through this study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revival of the Buddhakāya of Saddharmapuṇḑrīka Buddhism is the only hope of modern Buddhism and the only guidance which guarantees the prosperity of future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