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능엄경언해』를 통해 본 조선 초기 『능엄경』 수용에 대한 관견 (A Humble Opinion on the Śūraṃgama Sūtra in Early Joseon Seen from Its Korean Translation titled Neungeomgyeong eonha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능엄경언해』를 통해 본 조선 초기 『능엄경』 수용에 대한 관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행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마음연구 / 8권 / 205 ~ 242페이지
    · 저자명 : 하정수

    초록

    조선 초기의 언해 자료는 발견과 함께 보물로서 가치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 자료들은 우리 글자인 훈민정음으로 쓰인 초기 자료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문헌 자체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에 번역된 능엄경을 비롯한 불경 언해 자료는 주로 그 언해에 나타나는 언어 현상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국어학 특히 국어사 관점에서 이 자료들은 이전의 차자 표기 자료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탁월한 가치를 가졌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당시 언어 모습을 보다 생생하게 볼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두드러졌다. 또한 문헌학 관점에서 당시 사용된 종이, 활자, 판목 등의 형태서지와 문헌간의 선후 관계 문자의 출입出入과 이동異同 등의 내용서지의 관점에서살펴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조선 초기 불경 언해 자료 중 제일 먼저 언해된 것이 능엄경이다. 능엄경언해는 능엄경의 여러 주석서 중 송나라 계환의 계환해를 대본으로 하여 훈민정음으로 번역한 책이다. 이는 당시 능엄경의 수용 양상이 능엄경 계환해 중심이었음을 보여 준다. 이는 원나라 몽산화상蒙山和尙 덕이德異를 위시하는 선종이 유행하던 고려 말의 전통이 이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능엄경계환해 전체 구성은 요해서要解序 이후 개석과삼開釋科三에 의해 통석경제通釋經題, 통서과판通敍科判, 정석경문正釋經文으로 구분된다. 경문은 정석경문正釋經文부터시작된다. 능엄경언해의 언해는 요해서要解序부터 마지막 경문과 그 경문에 대한 계환해까지 모든 요소를 축자적으로 직역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경문에 앞서는 요해서와 통석경제, 경서과판 역시 한칸 내려쓴 원문에 한글 구결이 현토되어 있고, 그 뒤에 한글 번역문이 이어진다. 한글 번역문에는 협주로 글자의 뜻이나 문구에 대한 보완 설명을 하였다. 이러한 언해 방식은 한글을 아는 이라면 누구라도 경전의 내용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경전 접근성을 확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점에서 불경 언해 사업은 경전 수용의 용이성을 높이고, 내용에 대한 축자적 직역은 보편적인 경전 이해를 도모한 것으로 볼수 있다. 이는 훈민정음이 가지는 문자적 가치에 부합하는 것이다. 또한 간경도감의 불경 언해 순서와 관련하여 계환해는 당시 왕실과 지식인층의 주류가 수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Eonhae' refers to translating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and writing the translation in Hangeul. Eonhae documents in early Joseon were often regarded valuable as Korean treasures upon their discovery. That is because they have value not only as historic documents but also as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to being significant as early texts written in Hunminjeongeum, promulgated in 1446 and the original name of Hangeul. Therefore, Buddhist scriptural eonhae documents, including the early Joseon translation of the Śūraṃgama Sūtra, were mostly studied with a focus on the linguistic system of eonhae.
    In terms of Korean linguistics, eonhae has high value as a resource to give us some idea about how the language was used at that time. In terms of philology, eonhae documents are studied in two ways. First, the physical bibliography explores the types of paper and printing process used. Second, the textual bibliography explores the temporal order between documents and theentry of characters or the identity/difference of the characters in a document.
    The Neungeomgyeong eonhae (Korean Translation of the Śūraṃgama Sūtra) was a scripture translated into Hunminjeongeum based on the annotated version of Song China’s Jiehuan, which was one of several versions of Lengyan jing (the Śūraṃgama Sūtra’s translation into Chinese). This was a tradition from the late Goryeo era when the study of Lengyan jing was dominated by an annotated version of Jiehuan. The Neungeomgyeong eonhae consists largely of three parts: explanation of the sutra title (tongseok gyeongje), description of textual organization (tongseo gwapan), and the main text and explanation (gyeongseok jeongmun). Therefore, based on the Lengyan jing annotated by Jiehuan, the Neungeomgyeong eonhae presents the original Chinese text accompanied by “gugyeol”—the Korean phonetic or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and adds a Korean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then after a few lines, adds only the original Chinese text without gugyeol and the text translation. The Neungeomgyeong eonhae also includes gugyeol in other sections, such as the comprehensive summary (yohaeseo), explanation of the sutra title (tongseok gyeongje), and gyeongseo.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main text has annotations—in smaller fonts and/or in parenthesis—within the body to provide supplementary explanations. Thus, even profound content can be easily understood if readers know how to read Hangeul. This ease of scriptural reading and word-for-word literal translations are regarded as a mean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This accords with the literal value inherent in Hunminjeonge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마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