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정심다라니경언해』 연구 (A Study on BuljeongsimdaranigyeongEonhae(佛頂心陀羅尼經諺解))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8.12
44P 미리보기
『불정심다라니경언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45호 / 351 ~ 394페이지
    · 저자명 : 김무봉

    초록

    이 논문은 조선조 성종 16년(1485 A.D.)에 간행된 불경언해서 <불정심다라니경언해>의 성격 및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 글이다. 논의를 통해 이 책의 형태서지(形態書誌)와 각 판본의 현황, 그리고 경(經)의 성격과 내용, 언어적 특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책은 당시의 고승(高僧)인 학조(學祖)가 간행한 불경언해서이다. 3권 1책으로 되어 있는데, 각 권의 권명(卷名)은 서로 조금씩 다르다. 각 권에 실려 있는 내용을 반영하여 명칭을 달리 붙인 때문이다.
    1) 이 책에는 구결문이 없다. 앞쪽에 구결문 없이 변상도(變相圖)와 경(經)의 원문을 두고, 뒤쪽에 언해문을 별도로 두었다. 또한 경(經)의 원문(原文)과 변상도가 있는 앞부분은 목판본(木版本)인데 비해, 언해문(諺解文)이 있는 뒷부분은 을해자(乙亥字)로 된 활자본이다.
    2) 이 책은 초간(初刊) 이후 수차례에 걸쳐 중간(重刊)되었다. 초간(初刊)이 왕실의 원력(願力)에 의해 조성된 것인데 비해, 이후에 중간된 책들은 대부분 지방의 사찰에서 간행된 이른바 사찰판본(寺刹板本)이다.
    3) 이 책의 원고를 썼거나 책을 편찬한 사람인 설화자는 상권의 앞부분에서 관세음보살과 석존이 대화하는 형식을 빌려 경전의 성격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언어 사실에서는 같은 해에 같은 체제로 간행된 책인 <영험약초언해>와 더불어 15세기 후반 표기법의 특성을 보인다. 15세기에 간행된 다른 불경언해서들과 비교하면서 이 책의 어학적 특성, 특히 문장 구성 및 표기법 등을 살펴서 이 책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밝혔다.
    4) 이 문헌은 조선시대 우리나라 불교문화의 한 면을 보여주는 책이면서, 중세국어 시기의 매우 소중한 국어사자료 중 하나가 된다. 논의를 통해 이 책의 전반적인 성격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가 드러났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purposes that finding out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he <BuljeongsimdaranigyeongEonhae>(佛頂心陀羅尼經諺解), which is a Bulgyeong- Eonhae that was published in the age of Chosun's King Seongjong, as a material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hrough this argument, I examined this book's bibliography form, the present states of each woodblock-printed book, character and contents of this sutra,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is book is a Bulkyueong-Eonhae-Book that was published by the Hakjo(學祖) who was a famous Buddhist priest of the age. This book consists of three volumes. I believe that I clarified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ranslating the sutra into the Korean.
    This book does not have Gugyeol-sentence. Without Gugyeol-sentence, this book places Byeonsangdo(變相圖) and the original on the front part, and it places Eonhae-sentence(諺解文) on the behind part. Also, the front parts with the original and Byeonsangdo(變相圖) are woodblock, while the behind parts with Eonhae-sentences are a printing type, which is called Eulhae-letters(乙亥字). The reason why the front parts consist of woodblocks is that each page has Byeonsangdo(變相圖) in the top portion.
    The translation of this book is not out of word-for-word translation and literal translation because this book is the translated text that is premised on Gugyul-sentence. The most terminating forms of sentences in this book are declarative sentences of conjecture. A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is book and <YeongheomyakchoEonhae>,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year of the <BuljeongsimdaranigyeongEonhae>(佛頂心陀羅尼經諺解), shows orthography as same as that of the latter half of 15th century. I studied this book’s value of data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with other Bulkyeong-Eonhae(佛經諺解) and by search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way of organizing sentences, and orthography.
    This document is a book that shows one part of the Korean Buddhist culture in the Chosun age and is one of valuable data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the middle age. I believe that my argument shows the general characters of the <BuljeongsimdaranigyeongEonhae>(佛頂心陀羅尼經諺解) and value as a data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