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直接性의 문제와 『六祖壇經』의 ‘自性自度’ (The Problem of the Immediacy and the ‘Corss-the-Self-Nature-Over(自性自度)’ in Altar Sutra of Hui-Neng(『六祖壇經』))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直接性의 문제와 『六祖壇經』의 ‘自性自度’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0호 / 191 ~ 220페이지
    · 저자명 : 안호영

    초록

    불교는 自覺의 종교이며, 깨달음의 종교이기 때문에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六祖壇經』에서는 ‘自性自度’라는 한 句를 통해서 드러난다. 그러나 만약 이 句를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의 방법론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의 본질로 구분하여 표현함으로써 두 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깨달음은 간접적이며 매개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어떤 매개도 없는 ‘直接性’의 문제를 마주해야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自性自度’는 의미와 논의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본 논의의 목적은 慧能이 설하는 실천적인 의미에서 ‘자성 보는 법’의 대의가 ‘自性自度’라는 한 句에 담겨있음을 논증하려는 것이다. 먼저 자성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실천[行]과 ‘자성 보는 법’이 동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논의한다. 이어서 이러한 실천[行]은 慧能의 삶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으며, ‘자성 보는 법’을 체득하는 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자성 보는 법’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慧能이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을 ‘自性自度’와 연결시킴으로써, 自性을 건네야 할 필요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건넬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네다[渡]에서 비롯된 옮김의 개념을 건네다[度]와 直接性을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영어초록

    For the buddhism is the religion which is self-awakening and accomplishes the nirvana, the problem of both ‘I’ and the ‘nirvana’ is particularly important. This problem is disclosed through the one phrase as the ‘Cross-the-Self- Nature-Over(自性自度)’ in Altar Sutra of Hui-Neng(『六祖壇經』). But if we would see this phrase separately by expressing between the methodology of the process which approaches to the nirvana in the formal aspects and the essence of the nirvana in the contextual aspects, the nirvana would be going to the indirect and mediated thing. By this reason, we should confront the problem of the ‘immediacy’ without any mediated things, then we could immediately enter into the region of the meaning and the discussion on the ‘Cross-the-Self-Nature-Ov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rgue in practical aspects Hui-Neng(慧能)’s addressing the primary summary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自性)’ which is contained in that one phrase. First of all,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self-nature, it is simultaneously both the practice[行] and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therefore we could discuss the argument which is related to the ‘how to practically examine the self-nature’. Then we could find intactly this practice[行] in Hui-Neng’s life, accordingly reconstituting the self-experience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we could go forward the argument on the importance of this way. And then by connecting the ‘how to examine practically the self-nature’ to the ‘Cross-the-Self-Nature-Over’, we would discuss what is the necessity to cross the self-nature over and how is to cross over. Finally we would discuss how we could connect the cross-over[度] and the immediacy through the concept of the move based on the cross-over[渡].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