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鏡峰禪師의 禪思想 -보조 지눌의 선사상과 비교하여- (A study on the thought of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 with the National Master Bojo, as the central figure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鏡峰禪師의 禪思想 -보조 지눌의 선사상과 비교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3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서왕모

    초록

    근현대의 선승으로 한평생 참선수행과 중생교화의 삶을 살았던 경봉선사의 선사상을 보조국사의 선사상과 비교하여 고찰해보았다.
    종밀의 선종에 대한 분류에 의거하면 경봉의 선관(禪觀)은 직현심성종(直顯心性宗)의 입장이다. ‘심성을 곧장 드러내는 종파’의 측면에서 보조와 경봉은 같은 입장이다. 이는 곧 ‘심행처멸 언어도단’으로 선의 세계란 언어의 길이 끊어지고 사량분별이 끊어진 곳이다.
    시대에 따라 교가 우선이던 때가 있었고 선이 우선이던 때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보조와 경봉이 선과 교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비교해보았다. 보조와 경봉은 선사로서 화엄을 중요시 여기고, 선교회통과 선교일치의 맥락에 서있다. 근래의 출가와 재가에서도 선과 교의 합일점을 찾으려 하고 이 시대에 맞는 수행법을 찾으려 힘쓰고 있다.
    또 한국의 간화선 수용은 고려 무신집권기 보조에 의해 수용되었다. 그는 『절요』 뒷부분에서 간화선을 소개하였고 『간화결의론』을 저술하기도 하였다. 한국의 간화선은 보조의 제자인 진각 혜심과 고려 말 태고보우, 나옹혜근, 백운경한 등의 여말 삼사를 거쳐 조선 청허휴정에 이어지며 성격이 점차 변했다. 한국 선문의 간화선에 대한 시각과 입장이 이론적으로 통합된 것은 조선말 백파긍선에 와서이다.
    경봉의 간화선은 이러한 백파의 영향에서 근대선의 길을 연 경허의 선사상과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보조의 돈오점수 사상을 계승하고 있는데, 찾아오는 선납자들에게, 또는 재가자에게 자신만의 화두를 제시한다. 이러한 경봉의 간화선은 현재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과 자비심을 키워주는 청량제 역할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a outstanding modern monk in Korean Buddhism, compared with the Nation Master Bojo Jinul(普照 知訥, 1158~1210)Seon(禪) is beyond word and letter. We could reach only through the practice. They say that it is the realm beyond mental speculation(心行處滅), the cessation of the way of the word(言語道斷). So thus Śakyamuni Buddha's the dharma-door of non-duality(不二法門) was Great silence with no words(黙言).
    According to Jongmil's classification in the Seon school, Gyeongbong stands on the straight revealment of the mind's nature(直顯心性宗) which Bojo Jinul had asserted. That is the realm beyond mental speculation(心行處滅), the cessation of the way of the word(言語道斷).
    As the predominate school between the Doctrinal and the Seon, changes with the times, their opinion on the Doctrine and the Seon was systematically compared. They both placed emphasis on Hwayen(華嚴) as the Seon master. Also they asserted both theconciliation of Seon and doctrine(禪敎會通) and the convergence of Seon and doctrine(禪敎一致). Recently both monk and laity look for the union of Seon and doctrine, and the practice in tune with the times.
    Ganhwa Seon(看話禪), i.e. Word contemplation meditation was imported by the National Master Bojo Jinul in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of Goryeo Dynasty. He introduced Ganhwa Seon at theend of Jeolyo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and wrote Ganhwagyeoruiron (『看話決疑論』).
    Ganhwa Seon was passed down from Jingak Hyesim(眞覺 慧諶, 1178-1234), the most eminent disciple of Jinul, and the three leading monks of the late Goryeo period(麗末 三師), i.e. Taego Bou(太古普愚, 1301~1382) and Naong Hyegeun(懶翁 慧勤, 1320~1376), Baegun Gyeonghan(白雲 景閑, 1298∼1374) to Cheongheo Hyujeong(淸虛 休靜, 1520~1604) of the Choseon period. Nowaday Korean Ganhwa Seon was constructed by Baekpa Geungseon(白坡 亘璇, 1767~1852) of the late Choseon period who theoretically integrated.
    Under the influence of Baekpa Geungseon, Gyeongheo(鏡虛) opened the door to the modern Ganhwa Seon, and impacted on the thought of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Seon master Gyeongbong(鏡峰), inherited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of Bojo Jinul, revitalized hwadhu practice(話頭) and leaded many monks and laity to the enlightenment. Gyeongbong(鏡峰) was brought in the renaissance of a new era of Ganhwa Se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uddhist practice system widely in use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