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불성 (Sūnya and Buddha-nature on the basis of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Sutr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12
30P 미리보기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불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4호 / 307 ~ 336페이지
    · 저자명 : 윤종갑

    초록

    본 논문은 『열반경(涅槃經)』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불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서는 실유불성론(悉有佛性論)과 일체개성(一切皆成)을 주창한다. 즉,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깨달음의 근거로서 제시된 불성 개념이 인도와 중국불교사상사에서 실재 또는 공으로 해석되어 많은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최근에 와서도 이 문제는 국내외 학계에서 쟁점이 되었던 것으로 불성에 토대하고 있는 여래장사상이 불교가 아니라는 주장과 이에 대한 반론으로 논란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반야중관의 공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결코 실재로 해석될 수 없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즉,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초기불교의 무아설과 대승불교의 공사상과 동일한 것으로 붓다의 가르침을 온전히 구현하고 있는 불교의 중심 사상이다. 따라서 불성 개념을 실재론적으로 해석하여 성불(成佛)의 불가능성을 주장한 인도 유가행파(瑜伽行派)와 중국의 법상종(法相宗)의 오성각별설(五性各別論)과 일천제(一闡提) 사상은 잘못된 것이며, 이러한 계보를 잇고 있는 일본의 마츠모토 시로(松本史郞)의 비판불교 역시 붓다의 가르침에서 벗어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Sūnya and Buddha-nature on the basis of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they claims Reality is the nature of Buddha(悉有佛性論) and All Entire be acheive(一切皆成). All people could achievable Nirvāna. B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suggested that the base of Nirvāna was interpritated to Sūnya or Reality, had lots of hot discussions.
    Recently this topic was hot issued, so there are two positions appeared. The point is tathagatagarbha(如來藏) thought is Buddhism or not.
    This paper purposed to point o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ūnyatā(空性). So it could’t be interpreted Reality. Because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elfless theory(無我說) of Early Buddhism and Sūnya theory(空思想) of Mahayana Buddhism, it’s the central thought that realize a teaching of Buddha.
    Then India Yogacara(瑜伽行派) and East Asian Yogacara(法相宗)’s suggestion about Entering Nirvāna couldn’t achievable were wrong. So the Matsumoto siro(松本史郞)’ s criticism of Buddhism, which connect with them, was off the point of a teaching of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