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류의 철학, 역사, 문화의 원류인 『천부경(天符經)』에 함의된 홍익인간사상 연구 (A Study of Hongik human thought implied in “Cheonbukyung(天符經)”, the Origin of Human Philosophy, History and Cultur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06
23P 미리보기
인류의 철학, 역사, 문화의 원류인 『천부경(天符經)』에 함의된 홍익인간사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3호 / 105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익수

    초록

    『천부경』은 구천여년 전의 천서(天書)로 동북아 최초 한국(桓國)을 건국한 한인천제(桓仁天帝)에게 구전된 천리(天理)에 부합된 역사상 최초의 경전이다. 따라서『천부경』은 우주조화의 원리이며 우리 철학, 역사, 교육, 문화의 뿌리이며, 한민족의 정신이며, 국학의 묘맥이기도 하며, 세계철학의 종원(宗源)이기도 하다.
    배달국을 개천한 한웅천황(桓雄天皇)은 심오한『천부경』을 백성들에게 쉽게 이해케 하기 위해 신지(神誌) 혁덕(赫德)에게 명해 문자를 창제하게 하였다. 이 결실이 바로 녹도문자다. 이로 인한 『녹도문천부경』의 출현으로 『천부경』을 쉽게 공부할 수 있게 하였다. 그뿐 아니라 『삼일신고(三一神誥)』를 찬술해서『천부경』속에 함의된 홍익인간사상도 알게 하였다. 홍익인간사상은 한인천제가 한웅천왕에게 계승시켰지만 우리 한(桓)민족의 얼이요, 정신이요, 이념이다. 다만 원천적으로는 『천부경』에 함의된 것이다. 한웅천왕은 홍익인간의 이념은 배달국의 정치와 교육의 이념으로 확정했다.
    한웅천왕은 『천부경』을 이해시키기 위해 첫째로 문자를 창제케 하였으니 즉 『녹도문천부경』의 출현이요, 둘째로『천부경』의 이해와 전개를 위한『삼일신고』의 찬술이다.
    본고에서는 홍익인간 사상은 『천부경』에서 여하히 홍익인간사상이 창출(創出)되었는지가 연구목적이며, 현대적 의의와 가치를 궁구하는 것이다. 홍익인간사상의 시대적 요청은 인간성이 극도로 파괴된 이때에 인본주의로 세상을 되돌리는 데 있다. 제2차적인 의도는 ‘우리의 민족정신과 우리의 국학과 국교를 심는 민족문화’를 바탕으로 함께 공부 하려는 제2의 의도가 있다.

    영어초록

    "Cheonbukyung" is the first book of the world's history, about 9,000 years old. Hwanin(桓仁) sultan founded Korea(桓國), the first nation in Northeast Asia. The book is a translation of the Korean by the universal principle. "Cheonbukyung" is the principle of cosmic harmony, the root of education culture, the spirit of nation, the fountain of national science, and the origin of world philosophy.
    After Hwanung(桓雄) sultan, who opened Baedalguk(倍達國), made Shinjihyukduk(神誌革德) to make "Nokdomun(鹿圖文)" to understand the "Cheonbukyung" to the people. This led to the creation of the "Nokdomun Chunbukyung" and taught the people the ideological foundation and global philosophy. In addition, Hwanung made "Samilsingo(三一神誥)" to understand "Cheonbukyung" and made him aware of the Hongik human thought embodied in "Cheonbukyung", so that the ideology of Ewha(理化) world and Hongik human became the politics and educational ideology of the delivering countr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how the Hongik human ideology was created in the "Cheonbukyung", and to cultivate attitudes of nation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