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혜경(惠景)의 심식설(心識說) (Theory of Consciousness of Hye-kyung (惠景) in Yugaron-gi (瑜伽論記))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11
30P 미리보기
『유가론기(瑜伽論記)』에 나타난 혜경(惠景)의 심식설(心識說)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7호 / 247 ~ 276페이지
    · 저자명 : 백진순

    초록

    혜경(惠景)은 당대 『유가사지론』 연구의 선구자로서, 둔륜의 『유가론기』에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승이다. 이 글에서는 아뢰야식(阿賴耶識)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인용문을 중심으로 혜경의 심식설을 살펴보았다. 그는 신구(新舊)의 유식 문헌을 섭렵한 학자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신역 유식학 문헌에 의해 확립된 후대 유식설의 기본 관점을 공유한다.
    우선, 그는 옛 유식 논사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9식설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현장계 학자들에 의해 확립된 제8아뢰야식을 중심으로 하는 8식설을 받아들인다. 아뢰야식에 대한 그의 포괄적 관점은 『유가사지론』의 이른바 “종자의(種子依)란 일체종자아뢰야식(一切種子阿賴耶識)을 말한다.”는 문구의 해석에서 드러난다. 그에 따르면, 이 문구는 일차적으로 ‘일체종자식(一切種子識)’을 가리키고, 그러한 식으로서는 번뇌 종자뿐만 아니라 여래의 무루종자(無漏種子)를 함장하는 식이다. 이런 의미에서는 『유가사지론』의 일체종자아뢰야식은 『능가경』의 여래장 개념과 다르지 않다.
    다음으로 아뢰야식의 두 종류 인식 대상, 즉 내적 신체와 외적 기세간에 대한 혜경의 해석은 대체로 후대 『성유식론(成唯識論)』의 학설과 부합하며, 특히 타인의 신체에 관한 오래된 논쟁에 대해 호법(護法)과 동일한 견해를 나타내었다. 그에 따르면, 자기의 아뢰야식은 타인의 몸의 물리적 토대만을 변현해 내어 마치 외부 기세간의 사물처럼 인식한다. 또한 아뢰야식의 공상종자(共相種子) 개념에 근거해서 외부 기세간의 지속성을 설명한 것도 『성유식론』의 기본 관점과 큰 차이가 없다. 그에 따르면, 언제나 상속하는 아뢰야식의 공상종자가 기세간의 상을 끊임없이 현현하기 때문에 외부 세계는 지속성을 갖는 것으로 경험된다.

    영어초록

    Hye-kyung is the leader in Yugasajiron (瑜伽師地論) of the time, and is the most frequently cited scholar in Dunlun's Yugaron-gi. In this article, his thoughts was examined, focusing on quotes closely related to ālaya-vijñāna (阿賴耶識). Although he is a scholar who mastered literature of the new and old consciousness-only school, he shares the fundamental perspective of later theory of consciousness-only established by the newly translated texts in chinese.
    First of all, he accepted the theory of eight-consciousness centered on the eighth ālaya-vijñāna established by hyonjang (玄奘)'s successors, while questioning the theory of nine-consciousness which was popular among old scholars. His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ālaya-vijñāna is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Seeds-support (種子依) is sarvabijaka-ālaya-vijñāna (一切種子阿賴耶識)”. According him, this phrase primarily means sarvabijaka-vijñāna (一切種子識) and, as such consciousness, it combines not only the seed of kleśa (煩惱), but also the seed of undefiled tathāgata (如來). In this perspective, sarvabijaka-vijñāna in Yugasajiron is no different from tathāgatagarbha (如來藏) in Neunggagyeong (楞伽經).
    His interpretation of the two objects perceived by ālaya-vijñāna, that is, the inner body and the external world, generally aligns with the theory of later Sungyushikron (成唯識論). In particular, his view was no different from Dharmapala (護法) in regards to the old debates over the body of others. According to him, one's ālaya-vijñāna only expresses the others' physical bodies and recognizes them as external world. In addition, explaining the continuity of external world based on the common-seeds (共相種子) in ālaya-vijñāna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Sungyushikron. According to him, the outside world is experienced to have persistence because the always-inherited common-seeds constantly presents the image of the extern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