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高麗) 개경(開京)의 경령전(景靈殿) 관련 연구 검토와 과제 (Review and Issues of Research on Gyeongryeongjeon/景靈殿 of the Goryeo Dynas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4.11
35P 미리보기
고려(高麗) 개경(開京)의 경령전(景靈殿) 관련 연구 검토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97권 / 97호 / 199 ~ 233페이지
    · 저자명 : 장지연

    초록

    본 논문은 고려 개경의 고려궁성 안에 있던 진전 시설인 경령전(景靈殿)에 대한 연구 사를 논점별로 정리하고 추후에 좀 더 연구와 발굴이 진행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과제를 제기하였다. 경령전은 2007년 개경 만월대 지역에 대한 남북 공동 발굴을 통해 그 위치 가 확인된 것을 계기로 많은 연구 성과가 배출되었다. 그러나 동시다발적으로 발표가 되 는 바람에 연구사와 논점이 충실히 정리되지 않았고, 발굴성과와 문헌 연구가 각개 전개 되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여섯 가지로 논점을 정리하고 논점별로 결론을 제시할 수 있 는 부분은 제시하고 그럴 수 없는 부분은 추후의 과제로 정리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고려 경령전과 송 경령궁의 영향 관계에 대해서는 초기 연구에서는 송 경령궁 의 영향으로 만들어졌다고 보았으나, 송 경령궁에 대한 국내 연구가 나온 후, 양자의 영 향 관계는 부정되고 있다. 둘째, 경령전의 건립 시기는 모두 현종대로 꼽고 있으나, 그 안 에서도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갈린다는 점을 짚었다. 이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현종대 확장된 영역인 회경전 영역의 면밀한 발굴 성과가 필요하다. 셋째, 경령전의 중수 및 구조 변경 여부에 대해서는 문헌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가설이 나오고 는 있음을 제시하고, 발굴 결과에서는 중수한 흔적이 있다는 점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그 이상은 확인하기 힘들며, 향후 발굴에서는 이에 유의한 세밀한 발굴이 필요할 것이라 보 았다. 넷째, 경령전의 종교적 성격에 대해서는 3-2 건물지(집희전 추정지)가 아미타불을 모신 전각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안화사의 사례와 비교해볼 필요를 제기하였다. 다섯째, 경령전의 신어 배치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가 서상과 소목으로 갈려 있으나, 이 글에서는 의주에 대한 엄밀한 해석과 발굴 성과 등을 볼 때 소목으로 배치되었다고 보았 다. 여섯째, 후비 신어의 봉안 여부는 현존 문헌으로는 이를 판가름하기 힘든데, 발굴 결 과의 측정치와 조선시대 어진의 다양한 크기 등을 감안하여 고려해볼 것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historical research on Gyeongryeongjeon, a Jinjeon(Hall of Royal Portrait) in Goryeo Royal Palace, and identifies areas for further study. The location was confirmed in 2007 through a joint excavation in Manwoldae, revealing numerous relics but leading to simultaneous publications that obscured the cohesive research narrative. This pa- per categorizes findings into six main points.
    First, while early studies suggested that Gyeongryeongjeon was influenced by the Song dynasty’s Gyeongnyeonggung, this is unsupported by architectural and chronological evi- dence. Second, consensus exists on its construction in the early 11th century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but detailed excavations are needed for precise chronologies, particularly at Hoekyeongjeon.
    Third, various hypotheses about Gyeongryeongjeon’s repairs exist, backed by documen- tary evidence, though specifics remain elusive. Fourth, the paper suggests that the 3-2 build- ing site may have served as a hall for Amitabha Buddha, advocating for comparative analysis with Anhwasa Temple while noting that Goryeosa’s ritual protocols lack details on worship objects.
    Fifth, debate exists regarding the placement of the king’s portrait, with this study favoring the Somok position rather than Seosang(west-facing), based on ritual protocols and excava- tion findings. Lastly, clarifying whether a deity was enshrined remains challenging due to the variability in portrait sizes and available docume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