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석의 「寂境」 본문 연구 (A study on Baeksuk's 「Jeok-kyeong(「寂境」)」)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9
22P 미리보기
백석의 「寂境」 본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58호 / 397 ~ 418페이지
    · 저자명 : 전정구

    초록

    본문의 전승문제와 관련하여 백석이 생전에 펴낸 『사슴』(1936) 수록본 중 「寂境」이라는 작품이, 최근까지 발간된 백석전집에 재수록되는 과정에서 본문-원문의 마지막 행의 ‘그마음’이 ‘그마을’로 변개되어 있다. 본고에서 필자는 시집본과 전집본의 두 판본의 본문을 비교·검토하면서 어느 판본이 정본으로 합당한가에 대한 문제를 거론했다. 그 결과 기존의 전집에서 「寂境」의 마지막 행의 ‘그마음’을 ‘그마을’로 교열한 것은, 최소 교열 원칙이나 인쇄본을 중시하는 최근의 본문 비평 이론에도 위배된다는 점을 본고에서 밝혔다. 따라서 전승되는 두 판본 중 『사슴』에 수록된 「寂境」의 본문 그대로를 인정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타당하며 시집본이 전집본보다 해석의 다양성이나 풍부성이라는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본문의 전승과 보전’에 관한 문제가 백석 전집의 발간의 첫 번째 핵심과제이다. 교열의 필요성이 객관적으로 인정된다면 잘못 인쇄된 부분을 바로잡아 본문이 와전(訛傳)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그러나 확실한 근거도 없이 편집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거하여 본문이 변경되는 것이 용인되어서는 안 된다.

    영어초록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a writer implies the collection of all of the works of literary world of the writer, compilation of all of the studies about the writer, arrangement of all of the compiled studi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nsive literal world of the writer on the whole. In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Baekseok in this perspective, a problem of preservation of the text of Jeok-kyeong(「寂境」) is stated, and a solution for the problem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e paper is as follows.
    Firstly, the title of the poem, Jeok-kyeong (「寂境」), implies lonely place, area or boundary. It indicates that the house where the first son was born is located in the lonely area, and implies that the house is not in village with a group of houses.
    Secondly, the “inhabited mountain recess” (‘인가멀은산중’) phrase in the second line of the poem is in accord with the title, and it emphasizes repeatedly the fact that the first-son-born house is in the lonely area. At the same time, it performs the supporting function of enforcing the atmosphere of Jeok-kyeong (「寂境」), in addition to its correlation with the title. The house of the young wife is assumed to be of a husbandless broken family at the secluded area in a mountainous district.
    Thirdly, the husband of the young wife is not appeared at the surface of the poem, bu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t is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poetic words are chosen to imagine a person to be both the son of the widower and the husband of the young wife, as well as the father of the just-born first son, from the poem. The circumstance of the absence of the husband is the core of the poem, and it is related with the national difficulty of Korea at that time. The poem places the poor and hard family life of the young woman, who delivered her first son, in the center of its poetic implication.
    Conclusively, the revision of the “that mind” (‘그마음’) at the last line of the poem to the “that village” (‘그마을’) in text is a violation of both the minimum revision principle and the recent criticism theory,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the work in print form. Especially, Jeok-kyeong (「寂境」) in the complete works has strong possibility of limiting interpretational diversity and richness of its text. It is appropriate to recognize the Jeok-kyeong in the Sa-seum (『사슴』) as original in its text among two handed down versions, up to the present time.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a writer is the first step to enable both to synthesize his literary world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to analyze the literature about him precisely in detail. It implies that the start line for the study of Baekseok in higher level is ready. The first and intensive work for the study is how to inherit and preserve his literature in original text. Undoubtedly,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text from being misinformed by means of correcting the misprinted text, if it is necessary, after reasonable debates and discussions. However it is not permitted to revise the text based on the subjective judgement of editors without objective and reliable evidence. This kind of the principle has to be maintained fully in the futur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Baekse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