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겹목적어 구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yntax of Korean Double Objec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12
22P 미리보기
한국어 겹목적어 구문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8권 / 5 ~ 26페이지
    · 저자명 : 서민정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목적어와 관련한 쟁점들 중에서 겹목적어 구문에 대하여, 입말과 글말의 문법 차이를 반영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앞선 연구에서는 겹목적어 구문이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실현되는 문장이라는 전제 하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세종말뭉치와 같은 실제 자료를 검색했을 때, 겹목적어 구문은 입말[구어] 말뭉치에서는 확인할 수 있으나, 글말[문어] 말뭉치에서는 검색되지 않는다. 세종말뭉치가 한국어 전체를 대변한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말뭉치 규모가 어느 정도가 된다고 보았을 때, 겹목적어 구문이 한국어에서 보편적인 문법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검토에 대한 필요성은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겹목적어가 입말 말뭉치에서 확인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것은 노대규(1996), 안찬원(2018) 등의 앞선 연구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입말과 글말이 문법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말과 글말의 차이가 한국어 문법에 반영되었을 때, 문장성분의 겹침, 피동과 사동의 범위, 동사토의 통사적 특성과 같은 현재 논의 중에 있는 한국어 문법의 많은 부분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그런 관점에서 겹목적어 구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입말과 글말의 문법 차이에 대해 간단히 살피고 겹목적어 구문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앞선 연구들은 겹목적어 구문이 대부분 글말에서 실현되는 것임을 전제로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만약 입말에서 실현되는 것이라면 겹목적어와 관련한 논의는 그 출발에서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겹목적어 구문에서 ‘NP1를1’, ‘NP2를2’의 통사적 기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겹목적어 구문과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논의되어 온 문장들의 관계와 통사적 차이에 대한 검토가 포함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한국어 겹목적어 구문이 주로 입말에서 실현되는 현상이며, ‘입말’이라는 상황에서 말할이가 생각이 추가되거나 혹은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선행된 목적어와 관련된 것일 때 문장에서 목적어로 실현되어 이중목적어, 혹은 겹목적어 구문으로 실현됨을 살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ill reflect the difference in grammar between the written language and the spoken language for the multiple objects of the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object. In the previous study, discussions were held on the premise that the multiple object phrases are generally realized in Korean written language.
    However, when searching for actual data such as Sejong corpus, the multiple objects phrases can be found in spoken corpus, but they are not found in written corp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ejong corpus represents the whole Korean language, but the necessity of reviewing whether the multi-object syntax can be said to be a universal grammatical phenomenon in Korean can be clearly confirmed. In this study, we note that Korean multiple objects phrases are identified in the spoken corpus. This is because, a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Roh Dae-gyu (1996), Ahn Chan-won (2018), spoken languase and written language are clearly different in grammar. Wh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re reflected in Korean grammar, this study expects that many parts of the Korean grammar currently under discussion, such as the overlap of sentence components, the range of passive,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infl-suffix, can be solved. So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syntax of the multiple object from that point of view. For this discussion,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grammar differences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and examines how the syntax is in the double object. Since previous studies have been discussed on the premise that most of the multi-object syntax is realized in written language, if it is realized in spoken language, discussions on the multi-object phrases need to be reviewed at the beginning. Nex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yntactic functions of 'NP1 1' and 'NP2 2' in the multple iobject phrase. This will include the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s and syntactic differences that have been discussed as corresponding to the syntax of the multiple object.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will see that the Korean multiple object phrase is a phenomenon that is realized mainly in spoken language. And when the speaker is related to the object that is preceded in the process of adding or embodying the idea in the situation of spoken language, it will be realized as the object in the sentence and realized as a multiple object phr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