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비판에 대한 반론 겸 해명 (A Response and Elucidation to the Review and Criticism of 《Democracy and Media in Kore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1.11
44P 미리보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비판에 대한 반론 겸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사회 / 29권 / 4호 / 50 ~ 93페이지
    · 저자명 : 조항제

    초록

    미흡한 내 책에 대해 송현주 교수가 긴 서평을 해주었다. 한국의 언론학 풍토에서는 희귀한 일이라 매우 고마웠다. 이론적 측면에 집중한 그의 평은 필자가 책을 쓰면서 내내 해왔던 고민을 예리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오해나 오독도 있었다. 그의 제언 역시 일부는 내가 보기에 그렇게 유용하지 않다. 이 점이 내가 반론 겸 해명을 굳이 쓰는 이유이다. 먼저 송 교수는 내가 이론적 자원으로 삼은 미디어화론의 유용성에 상당한 반감을 표시했다. 특히 이 이론과 하위이론들의 관계에 대해 ‘연구대상과 접근방식이 상이하다’고 하면서 나의 설정을 비판했다. 정치 병행성론에 대해서는 내가 경직된 해석과 설정을 했고, 거시적 이론을 하위이론으로 ‘전락’시켰다고 했다. 미디어화론이 본받아야 하는 모델로 의제 설정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는 설사 공약이 불가능한 지평이라도 얼마든지 절충과 합의 가능성이 있다는 원론을 전제하고, 미디어화론이 ‘커뮤니케이션에 민감한 (새로운)민주주의’와 정치와 미디어 둘 모두에 관심을 두는 ‘두 갈래 전략’, 디지털화로 요약되는 미래의 여러 변화 등을 ‘포스트미디어화’로 아우를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주면서 이에 답하고자 했다. 미디어화론이 사회변화의 경향성이라면 정치 병행성은 그 안에서 주요 인자가형태화된 것으로 양자의 관계를 정리했다. 혼란을 낳은 정치 병행성론에 대해서는 개념의 질적 세분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의제설정’의 문제틀을 강조해 기존의 ‘공중 의제 설정’을 경쟁적으로 보완하고자 했으며, 정치적 의제 설정과 미디어화론의 긴밀한 관계를 강조해 양 이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영어초록

    Song Hyun-Joo gave a article-length book review on my recent book. I was very grateful that it was rare in the academic culture of journalism and media studies in Korea. His review, focusing on the theoretical aspect, sharply pointed out the concerns I have had while writing the book. However, there were some misunderstandings and misreadings. Unfortunately some of his suggestions are not so useful to me either. This is why I response and elucidate seriously to him. First, Song considerably opposed to the usefulness of mediatization theory that I set as a umbrella concept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particula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sub-theories, he criticized my formulating, saying, “The research subjects and approaches are definitely different.” As for the theory of political parallelism, he criticized I made a wrong interpretation and a setting for its becoming a sub-theory. Also, He proposed agenda setting theory as a model that mediatization theory should emulate. In response, on the premise that even incommensurable theoretical horizons may have the potential to compromise and synthetize together, I suggested that mediatization theory has the potential to encompass “communication-sensitive (thus, newly-reborn) democracy,” “two-pronged strategies” that should pay attention to both politics and media in democratization of the state and society, and various changes in the future summarized by digitalization. Regarding the theory of political parallelism, I argued that the current confusion should be cleared up by pursuing the conceptual differentiation addressing the internal power dynamics. Finally, by emphasizing the distinctive problematic of ‘political agenda-setting’(virtually agenda-building), I tried to competitively complement to the American style ‘public agenda setting,’ and to show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genda setting and mediatization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