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申崇謙의 願刹과 朝鮮時代 墳庵 (Sin Sung-gyeom’s Wonchal and Bunam in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4.09
21P 미리보기
申崇謙의 願刹과 朝鮮時代 墳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2호 / 249 ~ 269페이지
    · 저자명 : 이해준

    초록

    신숭겸(申崇謙, ?~927)은 충절의 표상인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통 털어 신숭겸만큼 다양한 추숭의 형태가 전하는 경우도 드물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신숭겸 추숭의 사례가 지닌 성격과 의미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이중 그의 묘역에 세워진 원찰(願刹) 지묘사(智妙寺)를 조선시대 분암(墳庵)의 시원 사례로 주목하였다.
    신숭겸의 추숭 활동은 추숭 주체가 국왕의 당대의 포장은 물론 지역민에 의한 지역신(성황신)으로의 추숭, 사족 및 후손에 의한 서원 사우의 제향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하였다는 점, 고려 초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형태도 원찰(願刹), 가면극, 성황신, 조선후기 서원과 사우 등등으로 아주 다양하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하는 원찰과 분암과 관련하여서는 순절지에 마련된 지묘사(智妙寺)가 조선시대 왕실의 원찰(願刹)․원당(願堂)․능암(陵庵)의 시원․선행사례로 조선조에 사족들의 묘역 수호시설인 분암(墳庵)으로 변화되었고, 이후 재실(齋室)로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렀다고 본다.

    영어초록

    Sin Sung-gyeom (?~927) is one of the figures symbolizing loyalty. Both in Goryeo and Joseon Dynasty, there were few figures that went through chusung (crowning a person that has died as king) as in many ways as Sin Sung-gyeom did. This thesis briefly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cases of chusung for Sin Sung-gyeom, and among them, it focuses on wonchal Jimyosa built in his tomb as an example of the origin of bunam in Joseon Dynasty.
    The activities of chusung for Sin Sung-gyeom seem fairly unique in that the subjects of chusung were very diverse including the kings of the times doing the pojang, the residents’ chusung for him as the regional deity (or the village deity), and even sajok or his descendants’ jehyang at the seowon or sawoo, and the activities were continually done from early Goryeo till Joseon, and the forms were also fairly various including wonchal, mask plays, the village deity, or seowon and sawoo in Joseon. And particularly about wonchal and bunam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researcher sees that Jimyosa built on the sunjeolji (the spot that Sin Sung-gyeom died) is the origin or precedent of wonchal․wondang․neungam of the royal family in Joseon, and it was changed to bunam, the sajok’s facility to protect the tomb in Joseon, and then developed to jaesil (a room for an ancestral rite) to be transmitted as the form up to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