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양화의 물결과 우리의 시선 : 오리엔탈리즘적 불교관과 유교관의 비판을 겸함 (Wave of Westernization and Our Viewpoint: Criticism on the Orientalistic Interpretation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9.09
26P 미리보기
서양화의 물결과 우리의 시선 : 오리엔탈리즘적 불교관과 유교관의 비판을 겸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1호 / 153 ~ 178페이지
    · 저자명 : 한자경

    초록

    서양인들이 동양의 역사와 문화와 사상을 보고 해석하는 서양중심적 지배담론이 ‘오리엔탈리즘’이다. 이 오리엔탈리즘을 우리 동양인들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확대하고 내면화함에 따라 우리는 우리 자신의 시선, 동양의 정신을 망각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가 놓지 말았어야 할 동양의 정신은 과연 무엇인지, 서양은 동양의 정신, 동양의 시선을 탈취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펴왔는지, 오리엔탈리즘은 왜 끝없이 확산되고 우리는 오늘날까지도 그 덫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밝혀보았다. 우선 서양이 제국주의적 확산을 위해 기독교를 전파하면서 동양의 종교인 유교와 불교를 어떤 식으로 해석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들은 유교나 불교의 종교적·형이상학적 측면을 배제하면서 상식적·도덕적 수준의 가르침으로 읽어내려 하고, 따라서 공맹이나 석가의 교설 중 종교적·형이상학적 측면을 더욱 강조한 성리학이나 대승불교를 원시유학이나 초기불교의 왜곡이나 변형으로 간주한다. 이에 반해 본고에서는 대승의 여래장 내지 일심사상은 초기불교 무아사상의 완성이라는 것, 성리학이 밝히는, 태극의 리(理)에 입각한 인간의 본연지성은 공맹이 논한 인간의 선한 본성의 형이상학적·종교적 심화라는 것을 밝혔다. 이로써 대승불교 또는 성리학을 국교로 삼았던 우리나라 전통 철학과 종교의 위상을 바르게 정립하고자 하며, 서양화되는 과정 속에서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동양적인 것’이 과연 무엇인지, 그 동양적인 것에 기반한 우리의 시선은 어떤 것인지를 밝혀보았다.

    영어초록

    'Orientalism' is the Western-centered discourse that Westerners see and interpret the East's history and culture. As this orientalism is uncritically accepted, expanded and internalized by our Asians, we are forgetting our own viewpoint, the spirit of the East. In this paper I discussed, what kind of oriental spirit we should not have let go, what strategy the West has taken to seize the oriental spirit, why orientalism spreads endlessly, and how we are still trapped in that trap today. First, I examined how the West interpreted Neo-confucianism and Mahāyāna, the Eastern religions, while spreading Christianity for expansion of Imperialism. They exclude the religious and metaphysical aspects of Neo-confucianism and Mahāyāna, interpret them as a common sense or a moral theory, and regard them as distortion or deformation of Original-confucianism or Early-buddhism. On the other hand I argued that Tathāgatagarbha or One-mind in Mahāyāna is the completions of Early-buddhism's Non-Ego thought and that Lee(理) or Taegeug(太極) is the deepening thought of Early-confucanism. In this way, I tried to establish the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that accepted Mahāyāna and Neo-Confucianism as the state religion, and tried to point out our sprit and viewpoint, which is easily overlooked in the process of Western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