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민왕 전칭작들에 대한 고찰 - 양 그림 잔결과 수렵도를 중심으로 - (Review of painting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y King Gongmin of Goryeo - with the focus on paintings of sheep and an incomplete hunting paint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06
29P 미리보기
공민왕 전칭작들에 대한 고찰 - 양 그림 잔결과 수렵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7호 / 97 ~ 125페이지
    · 저자명 : 이원복

    초록

    고려왕조 31대 왕 恭愍王(1430~1474)은 개혁군주로 초상과 산수 등 다방면 그림, 글씨에 두루 능한 고려 말기를 대표하는 書畵家이며 음악에도 조예가 있는 예술가이다. 공민왕의 전칭작 모두를 헤아려도 10여점에 그치며, 羊과 狩獵圖 두 계열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두 계열 작품들이 알려지게 된 경위, 소장배경을 살펴 현존하는 작품들 상호관계를 파악했다.
    양 그림은 간송미술관의 <두 마리 양>을 일단 공민왕의 기준작으로 알려졌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괄품인(유물번호 德2174) <한 마리 양>, <물가의 양>, <두 염소[山羊]>, <네 염소>, <물가 풍경>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 <두 마리 양>과 이들 5점 모두 동일한 필치로 같은 畵家의 그림이고, 같은 두루마리[卷軸]에서 나뉜 것임을 확인케 되었다.
    수렵도 잔결은 <天山大獵圖>, <출렵도>, <陰山大獵圖> 등으로 불려온 그림이다. 비슷한 크기로 각기 다른 소장처를 통해 국립중앙박물관에 모여졌다. <천산대렵도>는 <獵騎圖>란 명칭으로 18세기 최고의 서화수장가인 金光國(1727~1797)이 모은 『畫苑別集』에 속해 있다. 화면상태가 양호치 않는 <음산대렵도>는 서화비평가이자 감식가이며 장서가이기도 한 李夏坤(1676~1724)의 제발이 있어 성가를 더한다. 이들 3점은 세부처리와 세부묘사 등 동일한 필치로 한 두루마리에서 나뉜 것이 분명하다.
    이 두 부류의 그림은 공민왕 진적 여부와 별개로, 일정 수준 이상의 격조와 기량을 보이는 秀作들이다. 두 주제 모두 한 화가가 그린 두 두루마리에서 나뉜 것임이 분명하다. 조선시대 영모화 중에 양을 찾아보기 힘든 점과 수렵도 또한 유목민족과 관계가 크니 이들이 고려시대 그림으로 공민왕의 진적일 가능성에 긍정적인 요소가 된다.

    영어초록

    King Gongmin (r. 1351-1374) of the Goryeo Dynasty was a king with a penchant for innovation who was skilled in diverse genres of painting including portraits and landscape paintings as well as in calligraphy and music. It is thought that only about ten or so of painting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y King Gongmin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These paintings are divided into two basic categories, i.e. those of sheep and those of hunting.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these paintings came to be known and kept collectors and the public.
    First, A Painting of Two Sheep, which is kept at the Kansong Art Gallery, was considered to have been created by King Gongmin. However, as a result of an inspection of the five works kep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s a single package under Package No. Deok-2174 (i.e. One Sheep; Sheep Near Water, Two Goats, Four Goats, and A Waterside Scene), it was found that they were all pieces made by the same painter and had originally belonged to the same scroll.
    The incomplete hunting painting has also been referred to by different names such as Cheonsan daeryeopdo (Painting on the Grand Hunt on the Heavenly Mountain), Chullyeopdo (Painting of Hunting) or Eumsan daeryeopdo (Painting on the Grand Hunt on the Eumsan Mountain). They are all of a similar size, and all ended up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rough the hands of different collectors. Cheonsan daeryeopdo is contained in Hwawon byeoljip (An Album of Paintings) compiled by Gim Gwang-guk (1727-1797), a famous collector of calligraphic works and paintings of the 18th century, under the name Yeopgido. Eumsan daeryeopdo, which has not been particularly well preserved, is valuable nonetheless due to the epilogue inscribed upon it by Yi Ha-gon (1676-1724), a critic of calligraphies and paintings. In view of the strokes used in the detailed depiction, it is clear that they used to belong to the same scroll.
    Aside from the fact that these works really were painted by King Gongmin, they are superb in terms of their sheer artistry and the caliber. It is obvious that both subjects came from two separate scrolls belonging to one and the same painter. It is difficult to find sheep in paintings of birds and animal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while hunting paintings are deeply associated with nomadic people. Such factors strongly authenticate the presumption that they date back to the Goryeo Period and were painted by King Gongm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