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 민속연구 제1의 물결 (Western Missionaries Launching the First Wave of Modern Korean Folklore Investiga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4.02
31P 미리보기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 민속연구 제1의 물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2호 / 555 ~ 585페이지
    · 저자명 : 육영수

    초록

    한국 근대민속학의 발생학적인 기원을 일본제국이 뿌린 불량한 식민주의의 싹을 뽑아버리고 건강한 민족주의 영양분으로 품종 개량ㆍ접붙이기해서 얻은 달고도 쓴 열매로 인식하는 것이 국내 학계의 지배적인 연구 경향이다. 이런 시각에서 일본 관제 학자와 한국인 지식인에 앞서서 한국 민속자료를 채집ㆍ탐구했던 서양 선교사들의 학문적인 성과는 과소평가 되거나 무시되었다. 근대한국 민속연구의 초창기를 선도했던 서양 선교사의 역할과 학문적인 영향을 재조명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양적인 공백과 질적인 약점을 보완ㆍ수정하려는 것이 이 논문의 기본목표이다.
    본문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반부에서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일단의 서양 선교사들이 어떻게 근대한국 민속연구의 기초공사에 주춧돌을 보탰는지 속담, 민담, 세시풍속, 신화, 무속 등 여러 분야에 남긴 발자취를 추적한다. 후반부에서는 한국 근대민속학의 창출과 개척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조지 존스(G. H. Jones)와 호머 헐버트(H. B. Hulbert)에 초점을 맞춰 이들이 생산했던 학문적 성과와 그 역사적 유산을 되짚어 본다. 주요 분석 사료는 한국(조선)에 체류했던 서양 선교사들이 간행ㆍ참여했던 영어 월간지/학술지 코리안 리포지터리 , 코리아 리뷰 ,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트랜잭션 등이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 민속연구의 발자취는 생략하거나 무시해도 될 타자의 시각이 아니라 꼼꼼히 재발견되어야 할 한국 근대민속사의 전사(前史) 또는 도입부이다. 둘째, 알렌, 아담스, 존스, 헐버트 등은 전통과 근대, 문명과 야만, 중심ㆍ중앙과 지방ㆍ향토, 이성과 미신, 기록문화와 구술문화 등의 이분법적인 구별 짓기를 통해 한국민속을 인류 문명의 진화론적인 연쇄 사슬에 꿰맞춰 넣는 서구중심주의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셋째, 서양 선교사가 선창했던 ‘근대한국 민속연구 제1의 물결’과 서로 밀고 당기며 일본 관제 학자가 식민 담론으로 (재)창출한 ‘제1.5의 물결’과 한국 지식인이 민족 담론으로 다시 띄운 ‘제2의 물결’이 만드는 단절과 연속의 주름살을 실증적으로 관찰해야 할 매우 어렵고도 절실한 과제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영어초록

    A predominant view on the genesis of modern Korean Folklore is that it was an unfortunate queer product of competition and corroboration between Japanese bureaucrat-scholars and Korean nationalist intellectuals. Haunted by the ghost of origins, most scholars tend to ignore or underestimat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collected and studied Korean folk materials ahead of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This article intends to rediscover and reappraise Western missionaries’ indispensable contributions to collecting and researching Korean folklore during its very embryological stage.
    The main body of the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half traces how Western missionarie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had laid the groundwork for the birth of modern Korean folklore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proverbs, folktales, traditional festivals, and shamanism. The latter half examines academic legacy and influence of G. H. Jones and H. B. Hulbert, both of whom played critical roles in taking shapes of modern Korean folklore, but overlooked and underestimated by most previous studies. The main sources of analysis are the English monthly/academic magazines/journal published in Korea, including The Korean Repository, The Korea Review, and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The author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stern missionaries were very important personnel who had constructed solid and respectable foundation of Korean folklore fields and thus worth mentioning in historiography. Second, most Western missionaries discussed in the article were not value-neutral observers but shared Western-centric prejudice that evaluated peculiar Korean folklore/tradition as inferior in the chain of cultural evolution by distinguishing modern-central-rational Western civilization from primitive- local-superstitious-oral mentalité of ‘Koreaness’. Third, there remains a very difficult task of re-writing the whole genealogy of modern Korean folklore studies, which would reveal disruptive collisions and/or overlapping wrinkles existing among the First Wave launched by Western missionaries, the First-Half Wave re-fabricated by Japanese bureaucrat-scholars, and the Second Wave embraced by Korean intellec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