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 기이편후백제 견훤조의 원전과 편찬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and compilationof the Hubaekje Gyeonhwon recordsin Samgukyusa Giyi section)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2.06
56P 미리보기
『삼국유사』 기이편후백제 견훤조의 원전과 편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46호 / 39 ~ 94페이지
    · 저자명 : 전덕재

    초록

    본 논고는 『삼국유사』 후백제 견훤조에 전하는 ‘三國史本傳’의 실체, 후백제 견훤조에 인용된 『삼국사기』 견훤열전 이외의 전승자료의 성격과 계통 및 그것의 찬술 및 사료적 가치 등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一然이 주요 전거로 삼았다고 밝힌 ‘三國史本傳’은 『삼국사기』 견훤열전을 가리킨다. 일연은 후백제 견훤조에서 광주지역에서 전해지던 민담을 940년 이후에 기록으로 정리한 古記와 고려 현종대에서 멀지 않은 시기에 견훤의 후손 李磾가 찬술한 李磾家記(李碑家記)의 기록을 소개하였다. 이외에 다양한 고기류의 전승자료를 참조하였는데, 특히 고려와 후백제가 치열하게 대립한 927년 이후의 사실을 기술할 때, 『태조실록』의 찬자가 참조한 전거자료와 계통상 연결되는 전승자료를 적극 활용하였음이 주목된다. 일연은 견훤열전의 기록을 일부 내용이나 구절을 생략하거나 일부 글자를 개서하여 인용하는 방식으로 후백제 견훤조를 찬술하였다. 물론 일연은 견훤열전에 전하지 않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전승자료에 전하는 기록을 추가로 후백제 견훤조에 반영하려 노력하였다. 일연은 견훤열전 기록 가운데 부주의하게 일부 기록을 생략하고 인용한 관계로 일부 기록의 연대를 가늠하기 어렵게 만들거나 전후 맥락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곤란하게 만들었다. 또한 일부 내용이나 구절을 잘못 인용하거나 改書하여 견훤열전에 전하는 본래의 의미를 왜곡시키기도 하였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후백제 견훤조는 후백제와 견훤에 대해 연구할 때에 귀중한 사료로서 그 가치가 자못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후백제 견훤조에 전하는 기록 가운데 엄밀한 비판이 필요한 것이 적지 않기 때문에 후백제 견훤조를 사료로 활용할 때에 견훤열전 및 『고려사』 태조세가에 전하는 기록과 치밀한 對校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ubstance of the Samguksa-Bonjeon(三國史本傳) handed down to Samgukyusa Hubaekje Gyeonhwon records, the characteristics and line of historical records quoted in this records, excluding those cited in the Samguksagi Gyeonhwonyeoljeon, and its compilation and value of the historical records. The Samguksa-Bonjeon, which Ilyeon said was the main source materials, refers to Samguksagi Gyeonhwonyeoljeon. Ilyeon introduced old chronicles that recorded folktales that were handed down in Gwangju area after 940 and records of Leejegagi(Leebigagi) compiled by Leeje, the descendant of Gyeonhwon, not far from King Hyeonjong’s reign of Goryeo in the Hubaekje Gyeonhwon records. In addition, Ilyeon was used various old chronicles type,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when describing the facts after 927, when Goryeo and Hubaekje fiercely confronted each other, he actively utilized the transmission materials that were systematically linked to the source materials referenced by the author of Taejosillok. Ilyeon described the Hubaekje Gyeonhwon records by omitting some contents or phrases or rewriting some letters to quote the records of Gyeonhwonyeoljeon. Of course, he tried to reflect the records of Hubaekje Gyeonhwon in addition to the records showed in the transmission materials that described the contents that were not conveyed in the Gyeonhwonyeoljeon. Ilyeon inadvertently omitted and cited some of the records among the records of Gyeonhwonyeoljeon,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age of some records or to accurately grasp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them. He also distorted the original meaning of Gyeonhwonyeoljeon by misquoting or modifying some content or phrases. In spite of this, the records of Hubaekje Gyeonhwon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very high value a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when studying HuBaekje and Gyeonhwon. However, since there are several articles that need to be strictly criticized among the Hubaekje Gyeonhwon records, it is required to closely compare and review the records handed down to Gyeonhwonyeoljeon and Goryeosa Taejo-sega when using them as historical 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