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마법상의 신분변동 頭格減等(capitis deminutio)에 관한 소고 - D.4.5 De capite minutis 역주를 겸하여 - (A Study on the Change of Status in Roman Law - D.4.5 De capite minutis, Translation and Commentary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10
46P 미리보기
로마법상의 신분변동 頭格減等(capitis deminutio)에 관한 소고 - D.4.5 De capite minutis 역주를 겸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54호 / 251 ~ 296페이지
    · 저자명 : 최병조

    초록

    이 글은 로마법상의 신분변동인 頭格減等(capitis deminutio)에 관한 소고이다. 두격감등은 로마법상 가장 기본적인 제도에 속하는 것으로 그 개념 및 효과가 명료하게 정해진 까닭에 다른 경우와 달리 해석의 여지가 거의 없다. 하여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 아직 거의 알려지지 않은 관련 주요 사료를 번역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로마법상 신분을 규정하는 요소는 자유(libertas), 시민권(civitas), 가족신분(familia)의 세 가지였고, 이에 따라서 두격감등에는 자유를 상실함으로써 다른 모든 신분요소를 상실하는 최대감등(capitis deminutio maxima), 자유는 보유하면서 시민권을 상실하고 그에 따라 가족신분 역시 상실하는 중감등(c. d. minor/media), 다만 가족신분만이 변동하는 최소감등(c. d. minima)으로 구분되었다(Paul. D.4.5.11). 로마법은 이들에 대하여 세부적인 규율을 발전시켰는데, 로마법에 특유한 시민법과 자연법, 또 시민법과 법정관법의 고유한 논리와 상호작용, 로마적 소권법의 특수성(가령 擬制, 소권의 회복), 공법과 私法의 구분에 관한 기본적인 관점 등이 반영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인간의 법적 지위를 caput(머리)라는 人身의 일부에 의탁하여 지칭하면서, 그 개별적 요소로 좁은 의미의 시민법상의 가족적 지위에서 더 나아가 시민권은 물론, 자연법적으로 만인에게 전제된 것으로 관념된(D.1.1.4) 자유까지를 아우르는 총괄개념을 발전시킴으로써 고전법학의 persona 개념에 앞서 이미 확고한 人중심주의(personalism)의 법문화 풍토를 조성하였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 위에서 때로는 (가령 입양 사안 등에서) 매우 기술적인 세부적 고찰에까지 나아간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점들은 비교법적으로 볼 때, 가령 조선시대의 법문화가 학식법학(Intellectualism)의 미약으로 인하여 소위 良賤制를 근간으로 한다면서도 capitis deminutio와 같은 고도의 개념 체계를 명시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한 것과 대비되는 점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capitis deminutio in Roman law which means a change of legal status of a person, ranging from a loss of freedom (libertas) through that of citizenship (civitas) to a change of familial status (familia). The first one incurred for a man becoming a slave was called capitis deminutio maxima (the most serious), the second one minor (the less serious) or media (the intermediate), and the last one minima (the least serious)(Paul. D.4.5.11). Sometimes magna stood for maxima, or for both maxima and media according to the context. This legal institution was age-old and referred to a legal concept of caput, of which the first meaning is head of a man representing as such the man himself. Its meaning was then extended to comprise various legal aspects of a person (life, certain legal quality, and legal status).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capitis deminutio was so clear that there is no room for any doubt and discussion. This paper intends, thus, to translate main legal sources into Korean and to arrange all of the relevant sources systematically to enable a further understanding of Roman law of persons.
    Roman law developed a set of detailed rules concerning capitis deminutio, thereby considering an interplay between ius civile and ius naturale, or ius civile and ius honorarium, and applying sometimes highly developed techniques of a legal fiction or an in integrum restituio. It seems to be a very interesting and rewarding task to discern legal concept of caput and that of persona. Caput too is apparently and meaningfully based upon the most significant basic idea of man who is thought to be free iure naturali (D.1.1.4), implying a remote root of a personalism which characterizes the Western legal tradition and culture. Compared with Rome, where legal professionals (iuris periti) did their job with an exceptional expertise, the traditional law of the Joseon Korea having no class of legal experts in that sense did not develop such a conceptual system of legal status, notwithstanding its hierarchical social status system in a certain respect comparable to that of R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