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성형 AI(인공지능)와 민사법 관련 쟁점 - 법인격 내지 전자인격 부여를 중심으로 - (Issues on Generative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ivil Law – Focusing on the granting of legal personality or electronic personality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4.07
28P 미리보기
생성형 AI(인공지능)와 민사법 관련 쟁점 - 법인격 내지 전자인격 부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5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김성연

    초록

    생성형 AI의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생성형 AI는 점점 인간과 유사하게 인간과 상호소통하면서 그 생성물 내지 창작물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러한 생성형 AI는 권리의 객체로서 물건에 해당하기도 어려울뿐더러 민사책임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그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밝히기도 어렵다. 따라서 생성형 AI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제로서 생성형 AI에도 권리주체성을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현행 민법은 권리주체로서 자연인과 법인을 인정하고 있으나 생성형 AI는 자연인과 법인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의 형태로서 전자인이라는 법인격 부여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전자인은 인공지능의 기술적 수준에 대한 기술적 판단 기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등의 규범적 판단 기준을 같이 고려하여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자인은 등기 내지 등록제도를 통하여 법인처럼 공시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권리능력 없는 사단 내지 재단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 등기 내지 등록을 하지 않았더라도 제한적인 권리능력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생성형 AI의 경우 고도의 지능을 갖춘 인간과 유사하기 때문에 완전한 행위능력을 가질 것이다. 생성형 AI는 권리능력의 주체이므로 생성형 AI의 경제활동으로 인한 재산은 전자인인 생성형 AI에 귀속될 것이고 그 재산을 책임재산으로 하여 민사책임을 부담할 것이다. 전자인인 생성형 AI는 권리의 주체이자 의무의 주체이므로 민사책임의 주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손해배상책임의 주체가 될 것이다. 민사소송에서의 당사자능력을 갖게될 것이다. 다만 민사소송에서의 소송능력과 관련하여는 전자인이 인정되는 생성형 AI의 범위를 어느 단계까지 인정할 것인가와 관련될 것이다. 생성형 AI가 완전한 자율성을 갖는 정도라면 소송능력을 인정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법인과 마찬가지로 관리자나 소유자를 법정대리인에 준하여 취급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생성형 AI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Generative AI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Generative AI increasingly resembles humans and creates products or creations while interacting with humans. Not only is it difficult for such generative AI to be considered a thing as an object of rights,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person responsible when a civil liability issue arises. Therefore, as a prerequisite for resolving legal issues arising in relation to generative AI,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rights subjectivity in generative AI as well.
    However, the current civil law recognizes natural persons and legal persons as rights subjects, but Generative AI does not belong to natural persons and legal persons. Therefore, as a third form, granting of legal personality as an electronic person should be considered. Electronic people should be recognized by considering both technical judgment standards for the technical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ormative judgment standards such as social interaction. And the electronic person must be announced through a registration or registration system. However, in the case of social interaction like an association or foundation without rights capacity, limited rights capacity must be recognized even if it is not registered. In the case of highly generative AI, it will have full behavioral capabilities because it is similar to a human with high intelligence. The property resulting from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generative AI, which is the subject of rights capabilities, will belong to the generative AI, which is an electronic person, and civil liability will be imposed on the property as liability property. Generative AI, an electronic person, is the subject of rights and obligations and is therefore also the subject of civil liability. Therefore, it will be the subject of liability for damages. Generative AI in civil litigation will have party capabilities. However, with regard to litigation ability in civil litigation, it will be related to the extent to which the scope of generative AI where electronic people are recognized will be recognized. If generative AI has complete autonomy, it would be okay to recognize its litigation ability. However, if this is not achieved, the manager or owner should be treated as a legal representative, just like a corporation.
    This conclus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loring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generative AI and finding ways to utilize it effe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