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사임당과 율곡의 ‘고안출입군격’ 통운 시 연구 (A Study on Shin Sayimdang’s and Yulgok’s Poems Using the Common Rhyming Characterized by the Case of Lonely Goose into or out of Group)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신사임당과 율곡의 ‘고안출입군격’ 통운 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7권 / 7 ~ 36페이지
    · 저자명 : 박정근

    초록

    본고는 신사임당과 율곡의 ‘고안출군격(孤雁出群格)과 고안입군격(孤雁入群格)’ 통운 시를 연구한 것이다. 통운은 운자를 서로 교환하여 압운하는 것으로, ‘고안출군격’ 통운 시는 7언 절구의 기구 또는 7언 율시의 수련에서 ‘외로운 기러기가 무리 속으로 날아와 앞에서 이끄는 형식’을 말하고, ‘고안입군격’ 통운 시는 절구의 결구 또는 율시의 미련에서 ‘외로운 기러기가 무리 속에 섞여 함께 퍼덕거리는 형식’을 취한 것이다. ‘고안(孤雁)’은 ‘고학(孤鶴)’ 또는 비안(飛雁)이라고도 불리며, 송나라 시인들이 즐겨 사용했다. 통운이 고시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고안출입군격’ 통운 시는 근체시이다. 현재 전해지는 신사임당의 시는 2수로 모두 사모(思母) 시이고, 고안출입군격의 통운으로 지어 졌다. 본고에서는 신사임당의 사모 시와 더불어 『율곡전서』에 수록된 율곡의 ‘고안입군격’ 통운 시를 포함한 5수의 시를 뽑아서 분석하였다.
    신사임당의 7언 절구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은 ‘고안입군격’ 통운 시이다. 이는 결구에 차운(借韻)으로 압운함으로써 신사임당 자신이 마치 외로운 기러기가 되어 고향에 머물고 싶은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7언 율시 〈思親〉에서는 수련과 미련에 ‘고안출군격’과 ‘고안입군격’의 통운을 동시에 사용하여 신사임당 자신이 고향에 왔다가 머물고 싶은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이것이 ‘우연’이든 ‘의도’든 어머니가 계신 고향에 대한 애수가 절묘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형격을 보이고 있다. 율곡의 7언 절구 「양지객헌청감당차중온운(陽智客軒淸鑑堂次仲蘊韻)」은 ‘고안입군격’ 통운을 사용함으로써 ‘출사의 바쁨’과 ‘낙향의 한가로움’이 결국 하나의 이치이므로 나누어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적인 의도가 은미하게 표현되었다. 7언 율시 「과례안알퇴계선생황잉정일률(過禮安謁退溪先生滉仍呈一律)」에서는 경련 6구에 ‘고안입군격’ 통운을 넣어 율곡 자신이 기러기처럼 날아와 퇴계와 함께 도(道)의 담론 속 한가운데에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ing at researching Shin Sayimdang’s and Yulgok’s poems that is using the common rhyming characterized by “the case of lonely goose into or out of group.” The common rhyming, that is, the common rhymes among the adjacent rhyming group, means a kind of rhyming cases exchanging rhymes among the adjacent rhyming group in a poem. In the case of lonely goose into group, like a wild goose flying into a group, one of rhymes in the adjacent rhyming group is used in the last verse of a poem; in the case of lonely goose out of group, like a wild goose flying out of and in front of a group, one of rhymes in the adjacent rhyming group is used in the first verse of a poem. The “lonely goose,” also called as “lonely crane” or “flying goose,” was often used by the poets in Song Dynasty. The common rhyming was usually used in the ancient style of poetry, however, the common rhyming, characterized by the case of lonely goose into or out of group, was also used in the modern style of poetry. Until now two poems of Shin Sayimdang are handed down, both of which contain the contents of longing for her mother, composed of the common rhyming characterized by the case of lonely goose into or out of group. Along with her poems, this study selected five poems of Yulgok from Yulgok Jeonseo, composed of the common rhyming characterized by the case of lonely goose into group, and analyzed them.
    The seven-syllable quatrain of her “Looking at Mother’s Home during Going over Daeguanryeong” is characterized by the case of the lonely goose out of group. By rhyming in the last verse, she well expressed her feelings of becoming a lonely goose and staying in her hometown. In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by rhyming the first and the last verses with the lonely goose into and out of group, she expresses her feelings of returning her hometown and staying in it. These style accidentally or intentionally show that a longing for her hometown where her mother lives is too strong. In the seven-syllable quatrain of Yulgok “Following Zhungwen’s Rhyming at Yangji Guest House Cheonggamdang,” using the case of the lonely goose into group, he indirectly expresses his feelings that a busy road to success and a leisurely retire to a country finally lead to one logic that cannot be divided. In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Passing by Yean, Having a Audience of Master Toegye and Presenting a Regulated Verse to Him,” by rhyming with the case of the lonely goose into group in the sixth verse, he shows that he himself flies in and join in the discourse of Tao with Toe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