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빠알리어에서 격(格)의 의미론적 이해를 위한 kāraka 분석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the Analysis of Kāraka for the Semantic Comprehension of Cases in Pāli)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7.04
36P 미리보기
빠알리어에서 격(格)의 의미론적 이해를 위한 kāraka 분석의 중요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9호 / 253 ~ 288페이지
    · 저자명 : 김서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빠알리어에서 격의 의미론적 이해를 위한 kāraka(문장 속 행위에 대한 명사의 관계) 분석의 중요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빠알리어 전통문법서인 『깟짜야나 문법』과 『삿다니띠』의 문법규칙을 바탕으로 6종의 kāraka와 sāmi의 정의와 유형을 상세히 밝히고, 각 kāraka에 대한 격어미의 배정도 제시한다.
    빠알리어 문법은 주격, 대격, 구격 등 특정 격에 해당하는 어미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본래 분리되어 있는 격어미와 kāraka가 배정에 의해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kāraka의 적용범위가 비교적 넓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격어미가 항상 하나의 kāraka와 대응 관계에 놓이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kāraka의 정의와 유형을 분석하여 적용범위를 정확하게 인지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빠알리어 문장에서 기호와 같은 격어미는 kāraka를 통해 의미를 드러내고, 추상적인 개념인 kāraka는 격어미를 통해 구체화 된다는 점에서 격의 의미론적 이해를 위한 kāraka 분석은 중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ascertain the importance of the analysis of kāraka for the semantic comprehension of cases in Pāli. The purpose can be subdivided as follows. This paper aims to: ⅰ) clearly separate kāraka and case ending and to ascertain the mutual relation of those based on traditional Pāli grammars, ⅱ) present the application of each kāraka through analysing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six kāraka along with sāmi, ⅲ) focus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mutual relation between kāraka and case ending from the semantic perspective.
    For this research, the related rules in Kaccāyana-vyākaraṇa(KV) and Saddanīti(Sadd)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nalysed. As a result of that,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six kāraka, viz., kattu, kamma, karaṇa, sampadāna, apādāna, okāsa, along with sāmi were clarified in detail. And the assignment of each case ending to each kāraka were also presented.
    KV and Sadd do not use grammatical terms such as nominative case, accusative case, instrumental case, and so forth. Those grammars divide the case groups into seven such as paṭhamā vibhatti, dutiyā vibhatti, tatiyā vibhatti, and so forth, then assign a case(cases) to kāraka. Basically, paṭhamā vibhatti or tatiyā vibhatti is added to kattu according to sentence. And, dutiyā vibhatti is added to kamma, tatiyā vibhatti to karaṇa, catutthī vibhatti to sampadāna, pañcamī vibhatti to apādāna, chaṭṭhī vibhatti to sāmi, and sattamī vibhatti to okāsa. But, the other assignments in many rules are also presented. A case group is not absolutely assigned to a single kāraka, and a kāraka is not always expressed as a single case.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analysis of kāraka for the semantic comprehension of cases are as follows. Firstly, as each kāraka has a wide application and various typ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kāraka for grasping role and meaning of a word in a sentence. Secondly, a case group is not absolutely assigned to a single kāraka, and a kāraka is not always expressed as a single case. Thirdly, without case, kāraka cannot be expressed for conveying the meaning of word, and without kāraka, case is nothing but a sign. Therefore, the analysis of kāraka for the semantic comprehension of cases is necessary and import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