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韓文法(1908)』 격 체계 분석 연구 - 후사(後詞)와 격 어미를 중심으로 (A Study of 『Daehanmunbeop(1908)』 Postposition System Title - Focused on “Husas” and “Case ending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12
26P 미리보기
『大韓文法(1908)』 격 체계 분석 연구 - 후사(後詞)와 격 어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90호 / 221 ~ 246페이지
    · 저자명 : 김희선

    초록

    본고는 근대 태동기 국어 문법서인 김규식 『大韓文法(1908)』의 격 체계에서 드러나는 국어 문법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대 태동기 이전에 발간된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서의 격 체계 전개 과정 및 『大韓文法(1908)』과 비슷한 시기에 발간된 유길준 『大韓文典(1909)』와 주시경 『國語文法(1910)』의 격 체계,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의 격 체계 양상을 배경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김규식(1908)은 Underwood(1890)의 후치사 단독 체계를 비판하고, 명사 곡용론을 바탕으로 하여 격 체계를 크게 후치사에 해당하는 ‘후사(後詞)’와 ‘격 어미’로 양분하였다. 즉, 김규식 『大韓文法(1908)』의 격 체계는 Dallet(1874)에서 시작해 Ridel(1881)과 Scott(1887)으로 이어지는 격의 양분 체계를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후사(後詞)’는 그 의미에 따라 총 12개로 하위 분류하여 후사의 종류가 많다. 이 중, 격치 후사, 물질 후사, 연유 후사 등은 격 어미와 중복되어 그 구분이 다소 모호하며, Underwood(1890)의 후치사와 일치하는 것이 많았다.
    ‘격 어미’는 주격·소유격·목적격·지명격·원인격 총 5 격으로 나누었다. 김규식이 격 체계를 양분한 이유 중 하나는 주격과 목적격의 경우, 오롯이 선행 명사의 격을 나타내는 통사적 기능만 있으므로 ‘후사(後詞)’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때, 순수하게 문법적 기능만 담당하는 격 표지는 주격과 목적격뿐이라는 관점은 주시경(1910)과 일치한다. 또한 ‘와/과’에 대한 의미 기능 서술에서도 주시경(1910)과 공통된 관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주격 어미나 목적격 어미, 원인격 어미에서 선행 명사에 따른 이형태를 모두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기술은 주로 서양이나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에서 나타난다. 반면에 한국어학에 학문적 깊이가 깊은 일본인의 문법서나 유길준(1906, 1909), 주시경(1910)에서는 선행 명사의 받침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두 가지 형태만을 제시하였다. 김규식(1908)의 이와 같은 격 어미 형태 제시는 Underwood 문법관의 영향과 국어를 하나의 언어 체계로서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데서 기인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Korean grammar found in the case system in Kim Gyu-shik’s Daehanmun -beop(1908), a grammar book of Korean published during the early days of modern time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ase system in Korean grammar books published by Western people during the early days of modern times, the case system in Yu Gil-jun’s Daehanmunjeon(1909) and Ju Si-gyeong’s Gukeomunbeop(1910) published around the time when Daehanmunbeop(1908) was published, and the patterns of case system in learning materials for Korean published by Japanese people.
    Kim Gyu-shik(1908) criticized the system of single postpositions of Underwood(1890) and divided the case system into “Husas” referring to postpositions and “case endings” based on the nominal declination theory. That is, his case system in Daehanmunbeop(1908) followed the system of dividing cases into two groups that began with Dallet(1874) and led to Ridel(1881) and Scott(1887). There are total 12 subcategories of “Husas” according to their meanings. Of these many types, Gyeokchi, material, and reason Husas overlap with case endings, which makes their separation from case endings rather ambiguous. They matched postpositions by Underwood(1890) in many cases, as well.
    “Case endings” are divided into total five groups of subjective, possessive, objective, place name, and cause cases. One of the reasons why Kim Gyu-shik divided the case system into two parts was tha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s only had a syntactic function of representing the case of the preceding noun and could thus be considered as no “Husas.” He believed that only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s were considered as case markers performing a purely grammatical function just like Ju Si-gyeong(1910). He also shared a viewpoint with him in his description of the semantic functions of ‘와/과.’ He also provided all the allomorphs according to preceding nouns in subjective, objective, and cause endings, and this way of description was usually found in Western or Japanese learning materials for Korean. There were only two forms, on the other hand, provided according to final consonants of preceding nouns in grammar books written by Japanese people with profound academic depth in Korean studies and in those by Yu Gil-jun(1906, 1909) and Ju Si-gyeong(1910). This way of presenting case ending forms by Kim Gyu-shik (1908) was derived from the influence of Underwood’s viewpoint of grammar and his own objectiv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as a linguistic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