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토 겐치의 국체신도 개념 - 21세기 국가신도 논쟁과 ‘신황신앙’의 문제 (Concept of Kokutai Shinto by Kato Genchi - State Shinto Debate in the 21st Century and Divine-Emperor Worship)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04
41P 미리보기
가토 겐치의 국체신도 개념 - 21세기 국가신도 논쟁과 ‘신황신앙’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용봉인문논총 / 62호 / 213 ~ 253페이지
    · 저자명 : 이예안

    초록

    20세기 초 일본에서 국가신도론이 등장한 지 1세기가 지나 21세기 초를 맞이한 현재 국가신도 논쟁이 다시 뜨겁게 진행 중이다. 국가신도를 둘러싼 지난 쟁점이 국가신도가 종교인지 아닌지에 있었다면, 최근 20여 년간의 쟁점은 국가신도가 국민도덕을 중심으로 하는 국민적 종교로서 유효한가, 아니면 국가신도는 천황신앙을 핵심으로 삼아 전시기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를 추동한 것으로 단죄되어야 할 대상인가에 있다. 이런 논의가 현재에도 여전히 계속되는 배경에는, 일본의 전전과 전후 모두에서 국가신도개념 자체가 애매한 형태로 성립한 점, 국가신도 개념을 구성하는 연관 개념들이 정밀하게 분석되지 않은 상태로 적지 않은 시간이 경과한 점, 그리고 최근 일본의 보수화 경향 등이 맞물린 상황 등이 있다. 이에 대해 본고는 20세기 초에 등장한 가토 겐치의 국가신도론 가운데 국체신도 개념을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가토는 국가신도를 종교로 체계화하면서 그 핵심으로 국체신도 개념을 제시했는데, 여기에 바로 천황신앙의 주창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론에서는 먼저 21세기 국가신도 논쟁 상황을 살펴본다. 이를 전제로, 가토가 국체에 관한 종교학적 연구 결과로 천황을 정치적 군주인 동시에 종교적 신으로 위치시켰으며, 그로부터 국가신도를 ‘국민적 종교’로 구상하면서 ‘국체신도’ 개념을 ‘국민적 신도 신앙’과 ‘신황신앙’으로 정의해가는 과정을 검토한다. 가토 겐치의 국가신도론의 핵심인국체신도 개념을 검토함으로써, 20세기 초 국가신도론의 현장을 확인하는동시에 21세기 초 현재의 국가신도 논쟁에서 누락된 쟁점을 보충한다.

    영어초록

    A century after the emergence of discourse of State Shinto in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the other discourse of State Shinto is heating up again now in the early 21st century. The issue around the discourse a century before was whether or not State Shinto was a religion, and now the issue over the past 20 years is whether State Shinto is valid as a national religion centered on national morality, or whether State Shinto should be convicted of driving wartime nationalist ideology based on the Divine-Emperor Faith. In the background of this discussion the concept of State Shinto was ambiguous in Jap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lack of precise analysis of the related concepts that make up the concept of State Shinto, and the recent trend of conservatism in Japan. In response, this paper focuses on Kato Genchi's concept of Kokutai Shinto, which triggered the discoure of State Shinto in the early 20th century. Kato systematized State Shinto as a religion and presented the concept of Kokutai Shinto as its core, because it implies the advocacy of Divine-Emperor Faith. In this paper, we first look at the controversy over State Shinto in the 21st century. On the premise of this, we explore how Kato positioned Tenno as both a political monarch and a religious deity as a result of religious research on the Kokutai, and from that, the process of defining State Shinto as a National Shinto Faith and a Divine-Emperor Faith is reviewed. By examining the concept of Kokutai Shinto as the core of Kato Genchi's State Shinto theory, it will confirm the core of discourse of State Shinto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while supplementing the issues omitted in the current discourse of State Shinto in the early 21st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용봉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