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게란다상히따』(Gheraṇḍasaṃhitā)의 정뇌(Kapālabhāti) 정화법 연구 : 정뇌 정화법(GhS), 나디 정화법(GhS, HP), 풀무 꿈브하까(GhS, HP)의 비교 (A Study on the Kapālabhāti-karma in the Gheraṇḍasaṃhitā: Comparison with Kapālabhāti, Nāḍīśodhana, Bhastrikā)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1.09
25P 미리보기
『게란다상히따』(Gheraṇḍasaṃhitā)의 정뇌(Kapālabhāti) 정화법 연구 : 정뇌 정화법(GhS), 나디 정화법(GhS, HP), 풀무 꿈브하까(GhS, HP)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요가학연구 / 26호 / 93 ~ 117페이지
    · 저자명 : 박영길

    초록

    ‘여섯 정화법’(ṣaṭkarma)은 15세기 문헌인 『하타의 등불』(HP)에 의해 처음으로 하타요가의 행법으로 편입되었다. 하지만 『하타의 등불』에서 정화법은 아사나(āsana), 호흡수련(prāṇāyāma), 무드라(mudrā), 삼매(samādhi)로 구성된 사지 요가의 정식 지분이 아니라 호흡수련(prāṇāyāma)을 돕기 위한 하나의 예비 작법(HP. II.36)이고 경우에 따라 생략해도 무방한 기법(HP. II.21, II.37)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타의 정화법과 달리 ‘정뇌(kapālabhāti) 정화법’은 특별한 중요성을 지니는데 그것은 하타요가에서 가장 중시되는 풀무(bhastrikā) 꿈브하까(kumbhaka)를 수련하기 전에 반드시 익혀야 하는 기법이기 때문이다. 『하타의 등불』에 따르면 정뇌 정화법은 ‘마치 대장장이가 풀무질하듯 신속하고 급격하게 양쪽 코로 숨을 내쉬고 마시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고 풀무-꿈브하까는 여기에 한 단계가 추가되어 ‘적당한 시점에 숨을 마시고 그 숨을 최대한 참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풀무-꿈브하까는 누구나 처음부터 위험을 무릅쓰고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뇌 정화법’에 숙달된 자격자만이 전수받을 수 있는 기법이다.
    『하타의 등불』(HP)에서 설명된 정뇌 정화법은 그 이후에 성립된 백과사전적 대작인 『육따브하바데바』(YD)를 비롯해서 『하타의 보석 목걸이』(HR)에 그대로 인용되었으므로 정뇌 정화법은 17세기 말까지 동일한 형태를 유지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18세기에 성립된 『게란다상히따』는 여섯 정화법을 칠지 요가의 첫 번째 지분으로 편입시키고 또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다양한 정화법을 설명하지만 기본적인 틀은 『하타의 등불』에 의거한다. 하지만 『게란다상히따』의 정뇌 정화법은 전대 문헌과 구별된다. 『게란다상히따』는 정뇌 정화법을 건식(바람을 이용하는 것), 습식(물을 이용하는 것), 싯-소리 법(입으로 ‘싯’이라는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세 종류를 설명하는데 이 중에 습식과 싯-소리법은 『게란다상히따』 특유의 기법이므로 논란이 될 것은 없다. 하지만 『게란다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하타의 등불』에서 설명된 ‘정뇌법’과 유사하면서도 구별될 뿐만 아니라 풀무-꿈브하까와도 무관한 행법으로 파악된다. 『게란다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신속하게 코로 숨을 마시고 내쉬는 것을 반복한다는 점’에서는 『하타의 등불』에서 설명된 ‘정뇌법’과 유사하지만 전자는 ‘좌우 코를 번갈아가며 숨을 마시고 내쉬는 것’이고, 후자는 양쪽 코로 동시에 숨을 마시고 내쉰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다시 말해서 『하타의 등불』의 정뇌법은 풀무-꿈브하까를 수련하기 위한 예비 행법이고 실제로도 하나의 세트처럼 실행되지만 『게란다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풀무-꿈브하까와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게란다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좌우 코를 번갈아가며 숨을 내쉬고 마신다는 점’에서 ‘나디 정화 호흡법’(HP. II.7-10; GhS. V.39-45)과 유사하지만 전자는 숨을 참지 않고 단순히 ‘날숨→들숨→날숨→들숨’을 반복하는 것이고 후자는 들숨 후에 반드시 그 숨을 참는 것, 즉 ‘날숨→들숨→멈춤→날숨→들숨→멈춤→날숨’을 반복한다는 점점에서 재차 구별된다. 본고에서는 『게란다상히따』에서 설명된 세 종류의 정뇌 정화법을 분석하고 『하타의 등불』 등에서 설명된 정뇌법, 나디 정화 호흡법, 풀무-꿈브하까와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Ṣaṭkarma’ was incorporated into the technique of Haṭhayoga for the first time in the Haṭhapradīpikā(HP, 15th-century). According to HP, Kapālabhāti is a technique of repeating breathing in and out through both nostrils rapidly like a smith's bellows and the Bhastrikā-kumbraka is the same as the Kapālabhāti technique, but with one extra step: Inhale and hold the breath as much as possible (yathāśakti). Therefore, HP's Kapālabhāti is not only a purification method, but also has importance as a preliminary technique for practicing Bhastrikā-kumbhaka.
    Gheraṇḍasaṃhita(GhS, 18th-century) is a work that incorporates ‘Ṣaṭkarma’ as a first aṅga of Saptāṅga yoga, and further developed the technique of purification. Unlike HP, which described one type of Kapālabhāti, GhS describes the technique of Kapālabhāti as three types: ① Vātakrama, a technique of using breath (vāta) ② Vyutkrama,a technique using water (vyud), and ③ Śītkrama, a technique of making the sound ‘śīt’ As discussed earlier, the three types of Kapālabhāti methods described in Gh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ee types of Kapālabhāti(=Bhālabhāti) in GhS ① Vātakrama : Quickly(vegena) inhale through the left nostril, ex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 then ex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 and exhale through the left nostril.
    ② Vyutkrama : The technique of inhaling water (jala) through both nostrils (nāsābhyām) and then exhaling it through the mouth (vaktra) ③ Śītkrama : Simultaneously drinking water through the mouth (vaktra) while making the sound ‘śīt’ and then exhaling water through the nose (nāsānalaiḥ)

    Just as the types of Āsana and Mudrā have increased over time, it is natural that the types of purification methods have also increased, and it is also natural that the techniques of Kapālabhāti have been expanded into three types. Among them, ② Vyutkrama and ③ Śītkrama are not controversial because they are unique to GhS.However, GhS’s Vātakrama is very similar to HP’s Kapālabhāti, but on the other hand, it is judged to be different. In addition,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 (HP, YD, HR), which regards Kapālabhāti and Bhastrikā as if they were a set, Vātakrama of GhS is understood as a practice method that has nothing to do with Bhastrikā.


    GhS’s Vātakrama is similar to HP’s Kapālabhāti in that it ‘rapidly repeats breathing in and out through the nose’. However, Vātakrama is distinguished by the fact that it alternately inhales and exhales through the left and right nostrils.
    The Vātakrama of GhS is to ① close the right nostril with the right thumb and exhale through the left nostril → ② inhale through the left nostril → ③ close the left nostril with the ring finger and small finger, ex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 and repeat ①→②→③. On the other hand, HP’s Kapālabhāti is ‘repeat breathing in and exhaling rapidly (vegena) through both nostrils’.
    Again, Bhastrikā is described almost identically for GhS and HP, which is to ‘repeat rapid inhalation and exhalation through both nostrils, then inhale at the appropriate time and hold the breath as much as possible (yathāśakti)’. Therefore, HP’ Kapālabhāti forms a set with the Bhastrikā-kumbhaka, but the Vātakrama of GhS is judged to be irrelevant to the Bhastrikā-kumbhaka.
    On the other hand, the Vātakrama of GhS is similar to the Nāḍi-śodhana method in that ‘exhale and inhale alternately through the left and right nostrils’. However, Vātakrama does not hold the breath and simply repeats ‘exhale → inhale → exhale → inhale ... ’, whereas in Nāḍī-śodhana, including the process of holding the breath after inhalation, ‘exhale → inhale → hold → exhale → inhale → hold → exhalation ...’. Therefore, the methods of Vātakrama and Nāḍī-śodhana are different.
    To summarize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Vātakrama, Nāḍīśodhana Kapālabhāti, Bhastrikā Name:Text:Speed of exhalation and inhalation: Method :Whether or not to hold the breath after inhaling

    1) Vātakrama-kapālabhāti : GhS : In: quickly, Ex: quickly : ① Breathe in through the left nostril ② Exhale to the right nostril③ Breathe in through right nostril④ Exhale to the left (Repeat ①~④) : Not hold

    2)Nāḍī-śodhana:HP=HR,YD:Ex: slowly,GhS In: 16mātrāKu: 64mātrāEx: 32mātrā: ① Breathe in through the left nostril ② Hold the breath⁑③ Exhale through the right nostril④ Breathe in through the right nostril⑤ Hold the breath⁑⑥ Exhale to the left(Repeat ①~⑥): Holds the breath after each inhalation

    3)Kapālabhāti:HP=HR,YD:In: quickly Ex: quickly:① Breathe in through both nostrils② Exhale through both nostrils(Repeat ①~②):Nothold 4)Bhastrikā-kumbhaka:GhS,HP=YD,HR : inhale and exhale quickly (vegena):① Breathe in through both nostrils ② Exhale through both nostrils(Repeat ①~②):After 20 repetitions, breathe in and hold the breath,If feel tired, breathe in and hold the breath(While holding the breath, perform mūlabandha, jalandhārabandha, and uḍḍīyānabandha in sequence(HP. II.45-4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요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