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편 북한 언론은 지난 20년간 대한민국 대통령과 정부를 어떻게 보았는가? : 감성어, 의미연결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북한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How Have the South Korean Presidents and Governments been covered by the North Korean Media over the Past 20 years? : Big Data Analysis of North Korean Media Reports Using Sentimental Words, Semantic )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02
60P 미리보기
한편 북한 언론은 지난 20년간 대한민국 대통령과 정부를 어떻게 보았는가? : 감성어, 의미연결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북한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1호 / 125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종민, 조원정, 최종환

    초록

    본 연구는 2003년 이후 지금까지 약 20년간 북한 언론이 대한민국의 각 정부 기간 별 대통령 관련 내용을 어떻게 보도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된 언론사는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의 오늘>의 두 북한 언론이었으며, 분석 방법은 대통령과 정부 기간 별 차이 분석을 위해 감성분석과 QAP 상관분석을, 각 정부의 보도 특징 분석을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과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북한 언론의 대한민국 정부 기간 별 역대 대통령 언급의 차이를 보면, 감성분석 결과 노무현 > 문재인 > 이명박 > 박근혜 순의 긍정성이 도출되었다. 상관분석을 통해 파악된 것은 이명박과 박근혜 두 보수 정부 대통령 언급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노무현과 문재인 두 진보 정부 대통령 언급 간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즉, 노무현 > 문재인 > 이명박 > 박근혜 순의 감성적 긍정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노무현 정부의 긍정성은 독보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2019년 이후 북한 언론의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부정적 기사 급증이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다음 대통령 언급 맥락 연결어 분석 결과, 노무현과 문재인은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사용하였다. 반면 이명박과 박근혜는 직함보다는 ‘역적’, ‘역도’, ‘패당’ 등의 부정적 수식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대결’, ‘전쟁’, ‘도발’ 등 대립적 남북관계의 단어대립 구조에 대한 단어와 연결되어 있었다. 노무현 정부 기간 북한 언론 감성지수는 점차 증가추세였고, 이명박 정부 전체 기간 동안 낮았으며, 박근혜 정부 기간에는 초기에 긍정적이었다가 2013년 기간에 급하강 후에 지속적으로 낮은 감성지수를 보였고, 문재인 정부는 2018년까지는 상승세였으나 2018년 이후 하강세 그리고 2019년 이후에는 급하강세였다. 다음 각 대통령 별 언급 맥락 단어군집 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결과가 도출되었고, 각 단어군집과 토픽들이 해석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the North Korean media covered the president-related news during each of the South Korea's 20-year presidential terms, from 2003 to the present. The media analyzed were two North Korean media, <Chosun Central News> and <Joseon Today>.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idential and governmental periods, sentiment analysis and QAP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In addition,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each government's reporting characteristics. First, sentiment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ity was ranked in the order of Roh Moo-hyun, Moon Jae-in,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nservative presidents,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However, Roh Moo-hyun and Moon Jae-in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positivity of the Roh administration was exceptionally high. This result was identified as the cause of a surge in negative articles about the Moon Jae-in government in the North Korean media since 2019. Seco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context of the president's comments showed that Roh Moo-hyun and Moon Jae-in used the title of 'President'. However,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used a lot of negative modifiers such as 'rebel', 'weightlifting', and 'gang' rather than their titles.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e 'North Korean media sentiment index' gradually increased and was low during the entir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t was initially positive, but after a sharp decline in 2013, the emotional index continued to be low.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d an upward trend until 2018, but it has been on a downward trend since 2018 and has been on a sharp decline since 2019.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context word clusters and topic modeling for each president were derived, and each word cluster and topic were analyzed. Finally, in the discussion part of this study, various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we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