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야시 기탄(林義端)의 『다마쿠시게(玉櫛笥)』고찰 ― 권1의 제2화 「원송법화경(猿誦法花経)」을 중심으로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0.09
18P 미리보기
하야시 기탄(林義端)의 『다마쿠시게(玉櫛笥)』고찰 ― 권1의 제2화 「원송법화경(猿誦法花経)」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31권 / 255 ~ 272페이지
    · 저자명 : 김영호

    초록

    本稿では 『剪燈餘話』の 「聴經猿記」を出典とし、それを忠実に翻案した林義端の 『玉櫛笥』巻一の第二話 「猿誦法花経」の作品構成方法について考察した。まず、本話と出典を比較した時、本話は人物․事件․時代的背景․空間的背景を全部日本化した点を指摘することが出来る。しかし、出典とは異なる部分、つまり話の冒頭部分で雲浄法師が熊野山から志州へと移り、岩の洞穴に定着した部分と、結末部分、つまり真空法師が法花経の功徳によって毒蛇を退治する話は、出典である 「聴經猿記」には見られない話であり、この部分について先行研究では明確な答えを示していない。本稿では、本話に対する義端の構想について追跡した結果、義端が追加した部分が、『元亨釈書』巻九の 「雲浄法師」に載り、当時よく知られていた雲浄法師に関する説話であり、それを二つに分けて、「猿誦法花経」の冒頭部分と結末部分に配分して話を構成したことを指摘した。しかし、ここで現れるもう一つの問題は、義端が序文と跋文で明らかにしたように、 『狗張子』を継承したことを強調してはいるものの、具体的な影響関係が認められないということである。本稿では、『玉櫛笥』の跋文を検討した結果、義端が 『狗張子』から影響を受けたのは話の内容ではなく、日本の先行作品を活用して話を構成した作品の構成方法であることを指摘した。義端が 『元亨釈書』の雲浄法師譚を通して 「猿誦法花経」の骨格を構成したのは、このような意図によったものである。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iconology of Hayashi Gitan’s “Tamakushige” vol. 1, no.2 of ‘Wonsongbophwagyoung’ is studied, which regarded “Cheondeungshinhwa” as reference, and faithfully adopted.
    Compared to the original text, it should be noted ‘Wonsongbeophwagyeong’ made the characters, events, historical background and physical background like the Japanese paintings. However, unlike the original text, these are not visible, the first part of the story Unjeong Buddhist Monk moved from Kumano Mountain to Shisyu in and settled in a rock cave and the last part in the conclusion Jingong Buddhist Monk by virtue of the Lotus Sutra defeated a snake, furthermore on these part, the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answer is not clear.
    In this paper, as the result of tracking the idea of Gitan, the part that Gitan added is from the vol.9 of the “Genkosyakusyo” in ‘Woonjung Judiciary’. And it was a famous fable about Woonjung Buddhist Monk, Gitan pointed out that it is separated into 2 parts and ‘Wonsongbeophwagyeong’ was distributed to the beginning and ending.
    But here a new problem is appeared that, as Gitan pointed out in the preface and epilogue, even though it is emphasized that it inherited “Inuhariko”, but from the stories on the specific relationship is not acceptable.
    Thus,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studying the text of “Tamakushige”, Gitan did not inherit story from the “Inuhariko”, rather succeeded iconology, taking advantage of Japan's previous works. It should be stated that the reason why ‘Wonsongbeophwagyeong’'s framework is configured via the story of “Genkosyakusyo” Woonjung Buddhist Monk is due to that int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