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민국은 지난 20년간 ‘북한’과 ‘통일’을 어떻게 보았는가?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및 국민 인식 종단연구 (How has the Republic of Korea viewe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over the past 20 years? Sentiment words analysis of media articles and longitudinal study of public opin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0.12
41P 미리보기
대한민국은 지난 20년간 ‘북한’과 ‘통일’을 어떻게 보았는가?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및 국민 인식 종단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4권 / 6호 / 161 ~ 201페이지
    · 저자명 : 박종민, 정영주, 주호준, 김현우

    초록

    본 연구는 2003년 이후 ‘북한’과 ‘통일’이 포함된 네이버 내 약 40만여 개 기사의 언어 형태소 및 감성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노무현, 이명박, 박근혜+황교안, 문재인 정부)와 정파적 언론(진보/보수)에 따른 기사 내 언어적 강도, 정서적 표현 빈도, 정서의 방향성(긍·부정)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더불어 2003년 이후 매해 1,300명 대상 17년간의 대국민 인식 설문 분석을 이용하여 인구학적 속성, 개인 정치성향, 조사연도, 진보/보수 정부 시기에 따른 ‘북한과 통일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노무현 정부기간에 언어적 강도와 정서적 빈도 변화가 많았고, 박근혜 정부에서는 노무현 정부 다음으로 언어적 강도와 정서적 빈도가 높았다. 그러나 긍정적 정서량은 박근혜, 문재인, 노무현, 이명박 정부 순서로 많았다. 박근혜 정부기간 언론기사에서 긍정적 정서성과 부정적 정서성이 모두 높은 양상인 반면, 대국민 조사에서는 ‘북한’과 ‘통일’에 대한 태도(노무현 > 문재인 > 이명박 > 박근혜 정부)가 가장 낮은 시기였다. 여론 조사 결과 관련, 여성은 남성에 비해 ‘북한’에 대해서는 더 긍정적이고, ‘통일’에 대해서는 더 부정적이다. 교육수준과 수입이 높을수록 ‘북한’에 긍정적,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통일’에 긍정적이었다. 최근에 올수록 ‘북한’과 ‘통일’에 부정적이고, 연령이 낮을수록 ‘북한’에 더 부정적이었다. 정부의 정파성은 ‘북한’에 대한 태도에만 영향을 주어 진보정부 시기일수록 국민들은 ‘북한’에 긍정적이었다. 언론의 정파성에 따른 특징을 보면, 진보언론이 보수언론에 비해 북한의 대남정책과 행동, 남북관계 상황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가장 특이한 발견은 언론 전체가 북한, 통일에 대해서 긍정적 정서성이 강하며, 보수언론의 언어적 강도와 정서성이 진보언론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긍정적 정서성도 진보언론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이런 결과는 위 진보정부에서 국민이 ‘북한’에 긍정적인 결과와 비교해보면, 적어도 남북관련 의제는 남북정부가 이끌며, 언론이 의제를 선도하기 어려움이 유추된다. 관련된 해석이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language morphemes and emotional words of about 400,000 articles in Naver, including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since 2003. Through this, the differences in the linguistic intensity of the article,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direction of emotion (positive and negativ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 (Roh Moo-hyun, Lee Myung-bak, Park Geun-hye + Hwang Gyo-an, Moon Jae-in government) and the factional media (progress/conservativ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attributes, personal political orientation, survey year, and liberal/conservative government period was analyzed using a 17-year survey of public perception of 1,300 people each year since 2003.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many changes in linguistic intensity and emotional frequency during the Roh Moo-hyun government. In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fter the Roh Moo-hyun government, the verbal intensity and emotional frequency were higher. However the amount of positive sentiment was most in the order of Park Geun-hye, Moon Jae-in, Roh Moo-hyun, and Lee Myung-bak government. In media reports during the Park Geun-hye government,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were high, while the attitude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was the lowest in the public survey (Roh Moo-hyun > Moon Jae-in > Lee Myung-bak > Park Geun-hye government). Regarding the results of public opinion polls, women are more positive about 'North Korea' and more negative about 'Reunification' than men.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e more positive for 'North Korea',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positive for 'Reunification'. The more recent it came, the more negative it was for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and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negative for 'North Korea'. The political faction of the government only affected the attitude toward ‘North Korea,’ so the more progressive governments were, the more positive the people were toward ‘North Korea.’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s political faction, progressive media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North Korea's South Korean policies and actions, and inter-Korean relations than conservative media. The most peculiar finding was that the media as a whole had a strong positive sentiment toward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the linguistic intensity and emotionality of conservative media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progressive media, and the positive sentimen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progressive media.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public opinion polls, the political faction of the government had no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the people toward ‘Reunification,’ but it had an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North Korea’. Related interpretation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