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총독부의 조선 취락 조사에 관한 연구 :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의 생활상태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Village Surveys Conduc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 Based on Zenshaw Eisuke’s Survey of Living Condition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1.03
25P 미리보기
조선총독부의 조선 취락 조사에 관한 연구 :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의 생활상태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3호 / 775 ~ 799페이지
    · 저자명 : 이대화

    초록

    이 논문은 조선총독부에서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진행한 조사사업을 분석하여, 그 실상과 의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목표를 둔다. 당시 조사사업의 담당자 가운데 한 사람인젠쇼 에이스케가 전후에 남긴 회고를 바탕으로, 조사사업에 관련된 활동을 다시 살펴보았다. 이를통해, 조선총독부 조사과에서 주도했던 조선의 사회사정에 관한 조사활동의 역사적 의미를 규명하려는 연구이다.
    우선 1920년대 초까지 중추원에서 실시했던 부락조사와의 연관성이 있다는 점이 보다 분명해졌다. 중추원에서는 지리학자 오다우치 미치토시에게 의뢰하여 1921년부터 1923년까지 부락조사를 실시하다가 중단된 바 있었다. 완결되지 못했던 오다우치의 부락조사 계획이 1930년대 생활상태조사로 계승되었음을 젠쇼 자신이 회고에서 밝혔다. 내용상으로도 두 계획은 유사점이 많기때문에, 총독부 조사과의 생활상태조사는 중추원의 부락조사와 선후관계로 단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젠쇼는 경제와 사회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는 조선에 부임하기전, 동양협회에서 활동하면서 식민주의적 시각을 내재화하였으며 언론계 활동을 통해 현상을 포착하는 안목은 갖추었을지 몰라도 학술적 훈련은 부족한 경력을 갖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 조선에서 활동하는 일본인 학자들로부터도 비판이 제기되었으므로,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관련 조사연구와 총독관방의 조사활동은 상호 관련성이 깊지 않다 하겠다.
    구술자료를 토대로, 식민지시기 일본인에 의해 시도된 조선에 대한 각종 조사활동은 거대하고체계적인 계획에 의해 수행되었다고 단언할 수 없다. 조선총독부 총독관방 문서과에서 발간된조사자료와 산하 부서에서 발간한 자료, 경성제국대학 등의 학술적 조사가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었다는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 반대로 각 부서의 즉흥적인 필요에 의해 각종 조사를수행하였으며, 파벌주의도 작용하여 총독부 내부에서도 전면적인 협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식민지시기 일본인에 의해 수행된 조선에 관한 조사 및 연구활동은 그 배경과 추진 주체, 시대상황을 고려하여 그 성격을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urvey projects conduc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 from the 1920s to the mid 1930s and to critically examine their reality and intentions. I reviewed the activities related to research projects based on the oral archives of Eisuke Zenshaw(善生永助), who was responsible for research projects in Colonia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urveys on social conditions in Colonial Korea conduc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朝鮮總督府).
    First, there was a clear connection with the village survey conducted by the Privy Council for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朝鮮總督府 中樞院) until the early 1920s.
    The Privy Council for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 commissioned Michitoshi Odauchi(小田内通敏) to conduct a village survey from 1921 to 1923. According to Zenshaw’s oral data, a survey of living conditions in the 1930s proved to have succeeded Odauchi’s plan. As the two plans are very similar in content, it is clear that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s survey of living conditions in the 1930s succeeded the plan by the Privy Council for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 to investigate villages in the 1920s.
    Zenshaw conducted research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conomy and society, in Colonial Korea. Prior to moving to Colonial Korea, he was active in the Oriental Association of Japan. He worked as a journalist and acquired an imperialist perspective.
    Therefore, he was a person who lacked academic training. He was frequently criticized by Japanese scholars working in Colonial Korea. As such, the research activities of Zenshaw had little to do with the activities of Keiz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Based on Zenshaw’s oral data, various investigative activities by the Governor General of Chosen were not carried out based on a systematic or consistent plan. No relationship was confirmed between the survey data issued by the Governor-General’s Office(總督官房), the data issued by other departments, and the academic surveys published by Keizo Imperial University. On the contrary, various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spontaneous needs of each department. Furthermore, due to sectionalism, full cooperation within the Governor-General was impossible. In conclusion, various research data and research activities conduct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quire more in-depth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