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전후 역사학’의 전개와 미완의 가지무라(梶村) 사학 국가와 민중은 어떻게 (재)발견되었는가 (The Development of ‘Post-war Historiography’ in Japan and Kajimura's Unfinished Historiography How the State and the People were (Re)Discovere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일본 ‘전후 역사학’의 전개와 미완의 가지무라(梶村) 사학 국가와 민중은 어떻게 (재)발견되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세아연구 / 55권 / 3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도베 히데아키

    초록

    가지무라 히데키(梶村秀樹, 1935-89)의 연구 과제나 방법적 시점의 변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0세기 후반 일본의 사회과학, 그 중에서도 ‘전후 역사학(戰後 歷史學)’이라 불리는 학문 운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고는 앞서 발표한 바 있는 사학사적 연구(史學史的 硏究)를 바탕으로 가지무라의 근대 조선사 연구가 동시대 일본의 역사 연구 동향 안에서 지니는 위상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가지무라는 전후 역사학 운동을 견인한 역사학 연구회(歷史學 硏究會)가 1960년대 동아시아세계론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이때의 문제의식을 자신의 조선사 연구에서도 활용했다. 또한 1970년대 후반 이후의 가지무라가 민중사 구상을 심화시킨 배경으로는 동시대 한국의 민중운동으로부터 받은 자극과 더불어 같은 시기 일본 역사학의 중요 흐름인 인민 투쟁사(人民鬪爭史) 연구 및 민중 사상사(民衆思想史) 연구의 융성을 지적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지무라는 죽음 직전까지 방법적 시좌의 자기 혁신을 꾀했으며 국가와 민중이라는 두 문제에 초점을 맞춰 조선 근대사의 전체상(全體像)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런 점들을 사학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가지무라가 주장한 ‘내재적 발전론(內在的 發展論)’의 심화가 일본이나 세계의 역사학 동향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었는지를 밝히고, 자칫 조선사 안에 갇힌 체계로 이해될 수도 있는 가지무라의 역사학을 그것이 수행한 사학사적 의의 더 나아가 오늘날 되짚어보아야 할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Japanese social science in the late 20th century, especially the academic movement called ‘post-war historiography(전후 역사학)’, to capture the changes of Kajimura’s research agenda and methodical viewpoint. I set the Kajimura’s research o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gainst the background of Japanese research on history and tried to review it based on my research on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In fact, Kajimur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the theory of the East Asian world which was presented by the Historical Science Society of Japan(역사학연구회), and utilized it in of his own research on Korean history. Even though it is beyond doubt that he was stimulated by the people’s movement of contemporary Korea, first and foremost, Kajimura would not have been able to develop the con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people after the late 1970’s, had he not conduct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people’s struggle(인민투쟁사) and the history of people’s thought(민중사상사) which were among the big schools of Japanese historiography at the time. Based on these practices, Kajimura tried to innovate his own methodical viewpoint until shortly before his death, and pursued the overall picture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which links the two focuses, the state and the people.
    I determined how Kajimura’s deepening of his immanent development theory was related with the trend of Japanese and world historiography, by tracing above points with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At the same time, I paid attention to the meaning of Kajimura’s historiography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as well as historiography on Korea, and explained the reason why Kajimura’s historiography should be thought back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세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