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확실성, 진리성 그리고 관용 : “‘이성적인’ 사람들은 누구나 그렇게 한다.”의 한계와 의의 (Certainty, Truth and Tolerance: Constraints and implications of "Any 'reasonable' person behaves like thi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12
22P 미리보기
확실성, 진리성 그리고 관용 : “‘이성적인’ 사람들은 누구나 그렇게 한다.”의 한계와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6호 / 369 ~ 390페이지
    · 저자명 : 김화경

    초록

    본고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우리의 사고와 탐구의 출발점이자, 언어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토대로서 제시하고 있는 ‘확실성’의 개념이 과연 그가 의도한대로 의심의 부재, 정당화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인식론적인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실천적인 차원에서도 그 역할을 제대로 담당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서로 경쟁하면서 갈등 관계에 있는 세계상이 충돌했을 경우에 그것으로부터 벌어질 수 있는 긴장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에 대한 고찰이다. 이 대안은 무엇보다도 관용의 가능성을 위해서 행위의 규범성이나 진리성의 정의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어떤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한 행동을 옳거나 그르다고 판단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장 명백한 해명을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론적인 고찰을 위해 본고에서는 확실성의 모토라고 할 수 있는 “‘이성적인’ 사람들은 누구나 그렇게 행동한다.”를 분석하여 이것이 ‘삶의 형식에서의 일치’에 대한 확신이며, 이때의 ‘일치하다’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여 근본적인 세계상의 갈등 관계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치하다’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는 ‘하나의 완벽한 일치’가 아니라 다양하게 다가서는 일치, 즉 ‘수렴(convergence)으로서의 일치’이어야 한다. ‘수렴으로서의 일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일치하다’의 의미가 상호 이해, 진리와 관용의 문제 등과 폭넓게 연관되어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일치하다’의 쓰임에 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이질적인 세계상의 충돌이라는 갈등 상황에서 차이와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대화와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상호 이해를 위한 전제조건을 제안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성적인’ 사람들은 누구나 그렇게 행동한다.”라는 비트겐슈타인의 확신은 갈등 상황을 해소하려는 적극적인 관용의 길도 함께 모색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Wittgenstein's concept of certainty, we act without hesitation on the basis of unshaken beliefs and assumptions. But when it comes to conflicts between different 'Weltbildern", which apparently cannot be reconciled, can we see a similar foundation which leads our actions?In order to find an answer to this question, we need a method of investigation. So I refer to one motto in On Certainty which I would like to analyze closely. If somebody exclaims 'I behave in this way, any 'reasonable' person behaves like this", what can we infer from this proposition? Somebody who makes use of this motto is completely certain and absolutely agrees with the form of life. People should not look for one conclusive consensus which is valid for many possible affairs but for pieces of evidence for particular situations. We can come to agreements on many ways. I want to call such agreements 'convergence agreements.'If one realizes that Wittgenstein wants to show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ruth, agreement and certainty, one understands the proposition 'agree with the form a life" as a convergence agreement. This helps us to tolerate other "Weltbilder". Normally, when it comes to religious or political beliefs, different principles cannot be reconciled. The convergenc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opens the door to a dialogue between opposing views.
    For that reason Wittgenstein's concept of certainty can help us to find preconditions for a solution of fundamental conflicts in our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