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낯설음이 발현되는 그래픽 디자인의 텍스트 해석 -‘낯설게 하기’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of texts on graphic designs generating unfamiliar recognition -Focused on Defamiliarizati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3.03
10P 미리보기
낯설음이 발현되는 그래픽 디자인의 텍스트 해석 -‘낯설게 하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지식저널 / 25호 / 153 ~ 162페이지
    · 저자명 : 서소미

    초록

    예술의 형식적 기법으로 연구 되어왔던 ‘낯설게 하기’는 대상을 낯설게 인지하게 함으로써 지각이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방해하고 지각의 시간을 연장 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는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분야에서 ‘낯설게 하기’의 이론적 고찰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낯설게 지각되는 그래픽 디자인 작품을 찾아서 ‘낯설게 하기’의 발현 요인을 분석해 보고 작품의 텍스트를 해석해보고자 했다. 문학과 회화 분야의 ‘낯설게 하기’ 연구를 바탕으로 ‘낯설게 하기’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서술하였고. 낯설음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코드의 이탈, 수사적 표현, 소격효과로 분석하였다. 그래픽 디자인 역사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현재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낯설게 인지될 수 있는 작품들을 선택하여 앞서 분석한 낯설음을 지각하게 하는 세 가지 요인들을 주제로 논의 하였다. 첫 번째로 코드의 이탈을 보여주는 그래픽 디자인들은 트릭에 의한 ‘지각적 코드의 이탈’, 시대적 맥락에서 벗어난 ‘문화적 코드의 이탈’, 그리고 익숙한 상징성들의 부조화를 통해 보여주는 ‘관습적 코드의 이탈’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수사적 표현이 적용된 낯선 구성’에서는 기하학적 형태, 콜라주기법, 초현실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은유와 환유 등의 수사법을 보여주고 있는 그래픽 디자인들을 분석 하였다. 세 번째로 ‘소격효과에 의한 낯선 지각과 해석’에서는 대상과 수신자 사이의 시대적 맥락, 표현 형식, 전달 내용에 따라 대상을 낯설게 보이게 하는 ‘소격효과’를 중심으로 논의 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전쟁 포스터 디자인을 예시로 하여 ‘코드’를 분석하고 메시지를 해석해 보았다. 이미 익숙한 것에 새로움을 더해줄 수 있고, 시각적 미감을 만들어 내며, 인지력과 사고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낯설게 하기’는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분야에서 필요한 연구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영어초록

    Defamiliarization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your cognitive capability by delaying reaction time and interrupting self-reacting sense. Although Defamiliarization has been variously studied as one of the formal techniques in the art, it is difficult to find theories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or this research, I have found and analyzed those factors of Defamiliarization in the graphic works with generating unfamiliar recognition. There are classified into code deviation, rhetorical figures, and estrangement effect according to three causes generating unfamiliar recognition. The first point is to create esthetic of interruption through code deviation in graphic designs. The code deviation can be generated by trick, decontextualization and incongruity of symbolism. The second view is to compose Defamiliarization having esthetic sense and attention, by transforming usual text to poetic text through rhetorical figures. The third, using ‘estrangement effect’ which is a theory created by Bertolt Brecht , it makes us recognize absurd reality and have a critical view point. I will recommend that defamiliariz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process today because I am sure that it can be a fresh and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지식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